시는 '서울시 에너지조례'를 개정하고 30일 공포·시행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앞으로 서울시내에서 에너지 소비가 많은 상위 2%의 건물 1만3095곳은 자체 전광판을 설치해 에너지 절감 현황을 공개해야 한다.
한전 계약전력이 100kW 이상인 전력 소비가 많은 건물은 하절기(6~9월) 26도 이상, 동절기(11~3월) 20도 이하로 실내 냉난방 온도를 준수해야 한다.
시는 에너지 절약에 적극 동참하는 건물주에게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에너지효율화사업의 경우 사업비의 80%까지 최대 10억원 이내에서 연 2.5% 저리로 융자 지원한다. 재산세 감면(3~15%), 환경개선부담금 경감(20~50%) 등의 혜택도 제공한다.
민간이 시 소유 공간을 임대해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할 경우, 공공시설의 사용료 및 대부요율을 5%에서 1%로 대폭 낮춰준다.
자치구별 에너지 절약 실적도 주기적으로 평가해 우수 자치구에 대해선 에너지 효율화사업비 지원 등도 제공한다.
임옥기 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에너지사용량이 많은 건물부터 관리를 강화해 현재 대비 10% 이상을 줄여나가겠다"며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기준으로 연간 2000TOE(석유환산톤) 이상 에너지를 소비하는 413곳을 분석한 결과 업무용 건물 111개, 백화점 50개, 병원 26개, 호텔 25개, 학교 20개가 포함됐다고 밝혔다.
서울에서 에너지 사용량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대학교로 나타났으며 롯데월드, 코엑스, 강남삼성병원, 현대아산병원이 뒤를 이었다. 전력사용량 기준으로는 서울대, 코엑스, 롯데월드, 강남삼성병원, SK브로드밴드 순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