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위는 “고리1호기가 만들어내는 전기량(58만㎾)은 우리나라 전체 전기량의 1% 정도밖에 되지 않고 지난 20일 신고리 2호기가 상업운전을 시작해 이 비중은 더 줄어든다”며 “정부와 한수원은 시민들의 안전을 담보로 노후한 고리1호기까지 계속 가동하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식경제부 장관이 전력수급을 이유로 고리1호기를 늦어도 8월3일 재가동하겠다고 했지만 작년 전력대란은 7, 8월이 아닌 9월에 일어났다”며 “국민들의 에너지에 대한 인식과 정부·한수원의 관리능력 개선만으로도 전력위기는 충분히 극복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또 부산시와 부산시의회가 진정성을 갖고 이 문제에 대해 적극 관여하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