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 실장은 이날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김씨의 고문 논란과 관련해 새누리당 신의진 의원이 '주중대사의 일시 귀국 등 적극적인 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자 “고문이 있었다는 언론보도에 대해 정부나 청와대는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부가 할 수 있는 역량을 다해 중국 정부로부터 명확한 사실 관계를 밝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유엔에 이 문제를 제기하는 문제는 정부 내에서 아직 논의되지 않았지만 우리 국민과 인권단체 활동가들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는 모든 일을 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업무보고에선 또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인사 비리 의혹에 대한 여야의 질타가 쏟아졌고, 이에 하 실장은 공식 사과의 입장을 밝혔다.
그는 “최근 대통령실 내 직원들의 불미스런 일로 위원들에게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대통령실장으로서 송구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다시 한 번 깊은 사과를 드린다”며 "저를 비롯한 대통령실 직원은 대통령을 보좌해 국정이 원활하게 운영되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국민의 기대에 미흡한 점도 적잖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와 대통령실 전 직원은 더욱 높은 도덕성과 소명의식을 가지고 업무에 임하도록 자기 성찰과 반성을 하겠다”며 “(운영위)위원들의 지적과 국민의 소리를 더욱 낮은 자세로 경청하고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 당시 장진수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에게 입막음용으로 전달된 관봉 5000만원이 비자금이 아니냐'는 질의에는 "정부 부처는 물론 대기업이나 은행이 별도로 관리하는 VIP고객 등에게도 관봉을 나줘주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저희는 그럴 만한 돈이 없다”고 부인했다.
하 실장은 현병철 국가인권위원장의 연임과 관련한 운영위 위원들의 강한 질타에도 유감을 표했다.
하 실장은 현 위원장의 △탈북자 실명을 인권위 책자 공개 △논문표절 △횡령 △배임 △윤리강령위반 등의 의혹을 받고 있는 데 대해 “현 위원장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나오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북한 인권문제가 그렇게 노출돼 그 분들에게 피해를 줬다면 잘못됐다고 생각한다”고 유감을 표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