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손해보험사 관계자는 지난 3일 한국전력공사가 전기요금을 평균 4.9% 인상키로 했다는 소식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자 이 같은 반응을 나타냈다.
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손보사들은 최근 자동차보험료를 인하하라는 금융당국의 압박과 정비수가를 인상하라는 정비업계의 아우성이 맞물려 몸살을 앓고 있다.
금융당국은 손보사들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이 감소했다는 점을 들어 보험료 인하에 무게를 싣고 있다.
손해율은 고객이 낸 보험료 중 보험금이 차지하는 비율로 손해율이 70~72%대를 유지하면 적자를 면하는 구조다.
실제로 삼성화재, 현대해상, 동부화재, LIG손보 등 손보사 빅(Big)4의 지난 6월 자동차보험 평균 손해율은 68.23%였다.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26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업무현황 자료를 통해 “자동차보험 손해율 추이를 비롯한 보험시장 여건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험료 추가 인하를 적극 지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4월 이미 자동차보험료를 평균 2.5% 인하한 손보사들은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추가 인하 여력을 검토하고 있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한 해에 두 차례씩이나 보험료를 인하하라는 것은 가혹한 요구”라며 “손해율은 기상 상황에 따라 급변할 가능성이 높아 지금의 안정화 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장담키 힘들다”고 말했다.
올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자동차보험료와 씨름 중인 손보사들은 설상가상으로 정비업계와 전면전을 펼치고 있다.
경기도 평택지역 자동차 정비업체 관계자 60여명은 지난달 19일부터 서울 중심가에 위치한 한 대형 손보사 본사 앞에서 집단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들은 정비업체의 인건비에 해당하는 공임을 평균 2만원대에서 4만원대로 2배가량 인상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또 자동차 수리 시 최대 50만원 한도 내에서 차량 수리비의 20%를 계약자가 부담하는 자기부담금 정률제 폐지를 촉구하고 있다.
해당 손보사는 주간 집회를 막기 위해 같은 장소에서 자체 교통안전 캠페인을 진행했으나 정비업체 관계자들은 야간 집회를 강행했다.
관할 경찰서인 서울 남대문경찰서는 오는 18일까지 집회를 허가한 상태여서 물리적 충돌이 빚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다른 손보사 관계자는 “집회 참가자들이 특정 손보사를 타깃으로 삼은 것은 대형 손보사가 정비업계의 요구를 수용할 경우 중소형 손보사들 역시 제안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판단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정비수가 문제는 지역 자동차정비검사조합 간에도 이견차가 있어 요구가 관철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