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남성 음주자 43%, 매주 1회이상 ‘폭음’

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우리나라 남성 음주자 10명 가운데 4명은 1주일에 최소 한 번 이상 폭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5일‘우리나라 성인 음주 현황’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19세이상 6257명에게 설문한 결과를 담은 것이다.

조상대상의 77.7%가 최근 1년간 한 잔이상 술을 마신 경험(연간 음주율)이 있다고 답했으며 59.3%는 1년 동안 매달 1회 이상 음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연간 및 월간 음주율 모두 남성이 각각 87.7%, 77.7%로 여성의 67.8%과 41.3%를 웃돌았다.

이 같은 월간 음주율은 지난 2005년 조사 결과인 남성 72.6%, 여성 36.9%보다 더 높아진 수치이다.

연령별 월간 음주율은 남성의 경우 30대가 84.9%, 여성은 20대가 52.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나이가 많아지면 점차 줄어드는 공통점을 보였다.

연간 음주 경험자 가운데 17.6%는 ‘고위험’ 음주자로 분류됐고 71.4%가 ‘폭음’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1회 평균 음주량이 소주 기준으로 남성 7잔, 여성 5잔을 각각 넘고 주 2회 이상 음주를 하면 ‘고위험’ 음주자로 분류했다.

‘폭음’은 한 차례 술자리에서 남성은 7잔, 여성은 5잔이상 술을 마신 상태로 규정했다.

남성의 고위험 음주율은 여성의 7.6% 대비 3배 높은 25.5%로 집계됐고 1년이내 폭음 경험자 비율도 남성이 83.6%로 55.9%로 조사된 여성보다 높았다.

또한 연령별 고위험 음주율은 남자는 30~50대, 여자는 20~40대에서 높았으며 남녀 모두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고위험 음주율이 증가했다.

연간 음주자 중 주 1회이상 폭음한 사람의 비율은 30.0%였남성의 42.5%, 여성의 13.7%가 주 1회이상 폭음 수준까지 술을 마셨다.

더구나 남성의 12.5%, 여성의 2.5%는 거의 매일 폭음한다고 답했다.

한 달에 한 번이상 폭음했다는 응답자는 남성과 여성에서 각각 65.5%, 29.4%로 조사됐다.

자동차 또는 오토바이 운전자 가운데 최근 1년 이내 음주운전 경험자는 18.7%, 음주운전 차량 동승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17.2%로 조사됐다.

김소연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건강영양조사과 연구원은 “남성의 고위험음주율은 2005년 이후 비슷한 수준이고 여성은 오히려 소폭 상승하는 등 남녀 모두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10’ 목표를 크게 웃돌고 있다”며 “이처럼 성인 음주율과 음주운전 관련 지표 모두 개선되지 않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음주 행동 개선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