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금융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93개 저축은행 중 통합전산망 이용을 거부해 온 30여개 대형 저축은행 대표들을 만나 전산망 가입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금감원은 9월말까지 의향서 접수를 완료하고, 올해 말까지 93개 저축은행 모두에 통합전산망 구축작업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통합전산망은 크게 정보통합과 계정통합이 있다”며 “두 가지 모두를 통합하는 완전 통합을 원칙으로 하되, 자체 전산망이 구축돼 있는 대형 저축은행들에 대해서는 일부만 통합하고 나머지는 자체 전산망을 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업계 대표들과 논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앞서 금감원은 저축은행 통합관리를 위해 중앙회의 통합전산망으로 은행들을 직접 모니터링 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30여곳의 대형 저축은행들은 이미 각자 수백억원의 투자를 통해 자체 차세대 전산망을 구축해 놓은 상태다. 이 전산망을 두고 중앙회의 통합전산망을 새로 구축해 이용하는 것은 중복 투자는 물론 효율성면에서도 크게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소액대출이 주력 사업인 현대스위스, HK 등 대형 저축은행들은 자체 프로그램 노하우가 있어야만 관리가 가능하다”며 “대출상품 등이 다양하게 나눠져 있기 때문에 중앙회의 획일적인 통합전산망으로 관리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금감원은 효율성을 고려해 전산망의 일부 통합을 가능케 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지만, 전산망 구축에 투입되는 비용도 또 다른 문제로 거론된다.
업계 관계자는 “일부를 통합하더라도 중앙회의 통합전산망 구축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비용이 필요하다”며 “결국 일부 저축은행은 자체 전산망과 중복투자로 인한 손실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이런 반발에도 금감원은 개별적인 전산망으로는 관리가 어렵다며 통합전산망 구축을 강요하고 있다. 그동안 저축은행들의 비리로 금융당국이 크게 비난 받았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상품 개발 하나만 보더라도, 중앙회에서 일괄하면 표준 규정에 맞게 상품 출시가 가능하지만, 개별적으로 하다보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정찬호 한국금융연구원 부원장은 “당국 입장에서는 계정 통합 등 일부만이라도 연계하면 저축은행 관리가 용이하겠지만, 시스템 자체가 통합돼도 그동안 저축은행에서 발생한 비리들은 사람에 의한 도덕적 문제이기 때문에 전산망 등으로 모두 차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