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일 서울 잠실수중보 인근 5개 지점에서 검출된 남조류 세포의 분석결과 3개 지점에서 남조류 일종인 '마이크로시스티스(mycrocystis)'가 검출됐다고 8일 밝혔다.
마이크로시스티스는 간질환을 유발하는 유해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mycrocystins)을 분비해 세계보건기구(WHO)가 농도에 대한 음용수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놓는 생물이다. 녹색연합이 최근 낙동강에서 채취한 시료에서도 검출된 바 있다.
지점별로 보면 ㎖당 세포수는 풍납취수장이 190개로 가장 많고, 자양취수장 80개, 강북·암사취수장 각 60개였다. 구의취수장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나머지 남조류 세포는 대부분 수돗물 악취의 원인물질인 지오스민(geosmin)을 분비하는 아나베나(anabaena)로 확인됐다.
시 관계자는 "마이크로시스티스의 세포수가 많지 않아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며 "분석 결과 독성물질도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남조류의 세부적인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어 세포수만으로 독성을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보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마이크로시스티스 중에서도 독소를 내는 종이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며 "독성물질을 분비한다고 해도 강도가 종에 따라 다르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한강 수질을 다시 측정하고 이번에도 기준치를 넘을 시에는 이르면 9일 '조류주의보'를 발령할 예정이다.
![]() |
[표 = 한강 수질 관련 자료, 서울시 제공]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