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김성렬 행정1부지사 주재로 대책회의를 갖고 경기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중심으로 기상상황 예측과 상황관리를 유지하기로 했다.
도는 호우특보 발령전인 14일 오후에는 155개 산사태 위험지역과 293개 저수지, 1천43개 급경사지 등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대한 예찰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도내 공사장을 대상으로 특별관리를 실시하고 양수기와 마대 등 수방자재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기로 했다.
14일 밤으로 예상되는 호우특보 발령시에는 침수가 예상되는 징검다리와 지하차도를 사전 통제하고 산간계곡과 하천유원지 등에 있는 피서객을 귀가, 이동조치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도는 재난 경보시스템과 마을앰프를 통해 호우특보 상황을 전파하고, 입산통제 활동도 전개하기로 했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해 수해로 입은 공공시설 피해 총 4,595건 중 4,589건의 복구를 완료, 현재 99.9%의 복구완료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요 공정은 마무리 단계로 재·피해 방지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특히 곤지암천과 신천은 마대 쌓기를 비롯한 응급수방대책을 완료한 상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