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인터넷쇼핑 개인정보보호 수칙 마련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8-16 15:1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홈·인터넷쇼핑 관련 개인정보보호 수칙이 마련됐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행정안전부는 홈쇼핑, 오픈마켓 등에서 물품을 구매한 고객의 개인정보가 구매·배송 과정에서 무단으로 제3자에게 제공되거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안전한 쇼핑 및 물품 배송을 위한 개인정보보호 수칙’을 마련했다고 16일 밝혔다.

수칙은 상대적으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판매자, 택배사, 수취인 대상으로 개인정보 보호조치 등 주요 법적 의무사항을 사업자 및 이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판매자 수칙에서는 PC 내 엑셀파일 암호 설정.배송 목적 외에 개인정보 이용하지 않기 등 10가지, 택배사 수칙에서는 개인정보 취급 단말기 등의 암호화·개인정보 접근권한 최소화 등 11가지, 수취인 수칙에서는 주문시 필요한 정보만 기입·가상전화번호의 이용 등 7가지 내용으로 구성됐다.

정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및 개인정보호협회(OPA)와 함께 사업자들이 수칙을 자율적으로 지킬 수 있도록 홈쇼핑.오픈마켓, 판매자.택배사 대상으로 온라인 배포하고 각 기관별 홈페이지(www.kcc.go.kr,www.privacy.go.kr,www.i-privacy.kr, www.opa.or.kr) 등을 통해 적극 안내할 예정이다.

행안부는 택배사 등의 개인정보 처리업무 위탁과 관련 개인정보 사용 및 보유, 비밀유지 및 개인정보 보호, 손해배상 등 성실한 계약이행을 위한 표준 개인정보처리 위탁 계약서를 마련해 별도 게재(www.privacy.go.kr) 한다.

방통위는 쇼핑 관련 사업자들이 민간 협의체를 구성하고 개인정보보호 조치 자율 점검 및 교육‧홍보 등을 실시해 자율적인 개선 문화가 조성 될 경우 일정기간 실태조사를 유예하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판매사.택배사 등 개인정보보호 취약 업종에 대한 수칙 마련을 계기로 그간 상대적으로 법 집행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사업자층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지속적으로 개인정보보호 취약 업종을 발굴하고 해당 분야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며 ”이용자 및 수취인도 개인정보 주체로 최소한의 개인정보 제공하기, 물품 직접 수령하기, 가상 전화번호(050서비스) 이용하기 등을 통해 스스로 개인정보를 보호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