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철 교수, 폐암 표적치료제 내성 원인 규명

이재철 서울아산병원 교수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서울아산병원은 이재철 폐암센터 교수팀이 미국의 콜롬비아대학교, UC샌프란시스코 연구팀과 공동으로 ‘AXL’이라는 인산화효소수용체가 폐암 표적치료제의 내성을 발생시키는데 관여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수용체’는 세포의 외벽에서 외부 신호를 받아 세포의 증식과 분화, 소멸, 암 생성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관여하는 단백질군이다.

표적치료제는 정상세포는 그대로 두고 암세포만 공격하는 항암제를 말한다.

이는 암 치료에 획기적인 패러다임을 제시했지만 약에 내성이 생기는 게 한계점이었다.

내성이 생기는 이유 중 하나는 치료제가 암세포 증식 신호를 차단해도 암세포가 또 다른 신호 경로를 찾아내 세포증식을 지속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AXL’ 유전자를 변형시키는 방식으로 암세포실험과 동물실험을 한 끝에 이 수용체가 ‘우회로’를 만들어 내성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실제 비소세포성폐암을 앓고 있는 43~80세의 환자 35명에게 이레사와 타세바를 투여한 후 내성이 생긴 환자 7명의 조직에서 ‘AXL’의 활동이 증가하는 것 밝혔다.

김 교수는 “‘AXL’과 기존의 ‘EGFR(상피성장수용체)’ 신호를 동시에 차단하는 치료제를 개발하면 암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