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은 이날 MBC라디오에 출연해 “지난 2년에 걸쳐 여러 번 선거를 해봤고, 대략 새누리당을 지지하는 계층이나 유권자수가 얼마쯤 된다는 것은 판단할 수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것만 갖고 대선 승리로 이끌 수 있다고 판단한다면 흔히 말하는 ‘덧셈ㆍ곱셈’, ‘1층ㆍ2층’ 얘기를 할 수 있지만, 표(票)에서 특별히 덧셈ㆍ곱셈할 수 있는 새 지지층이 있을 수 있겠느냐는 것에 대해 의미 없다고 본다”고 일축했다.
앞서 경선캠프의 최경환 총괄본부장은 전날 “가까이 있는 사람, 끌어들일 수 있는 사람부터 먼저 덧셈을 하고 현재 면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외부 세력을 영입하는 게 선거의 ABC”라고 밝힌 바 있다.
김 위원장은 이어 “당이 대선을 맞아 종전 지지층 결집에 최선의 노력을 하겠고, 그러면 되는 것이지 무엇을 덧셈하고 곱셈을 하는가”라며 “나는 덧셈이니 곱셈이니 그런 수사적 얘기에 의미를 부여하고 싶지 않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박 후보가 대선출마 선언에서 경제민주화를 공약한 사실을 언급, “경제민주화 약속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으면 신뢰의 문제가 발생하고 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는 예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옛날로 돌아가 보수 진영이 요구하는 가치만을 추구한다면 그 길로 가는 길 밖에 없다”며 “결국 박 전 위원장의 선택에 달렸다”고 꼬집었다.
특히 “경제민주화가 보수대연합에 장애가 된다고 하면 결국 못하는 것”이라며 “그 문제는 박 전 위원장 자신만이 결심할 사항”이라고 박 후보를 재차 압박했다.
대선캠프 체제에 대해선 “공동선대위원장을 수락할 때에는 이 체제가 본선까지 겨냥하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상황 변화가 있어 새로운 선택을 한다면 결국 당사자인 박 전 위원장의 선택에 달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대선캠프 불참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나의 선택의 문제이지 미리 이렇고 저렇고 얘기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즉답을 피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