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21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6대 금융지주 회장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왼쪽부터 추경호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민병덕 KB국민은행장,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 김석동 금융위원장,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 권혁세 금융감독원장, 강만수 산은금융지주 회장, 신동규 농협금융지주 회장. |
아주경제 장슬기 기자= 금융지주사들이 최근 논란이 된 CD(양도성예금증서)금리 및 가산금리 결정 체계, 금융소비자 보호, 가계부채 관리 등 전 분야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한 달 내에 내놓기로 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21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금융지주 회장들과 만나 “최근 금리 결정 체계와 운영의 합리성 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면서 금융권에 대한 신뢰가 저하될까 우려된다”며 “‘비 올 때 우산 뺏는다’는 금융권에 대한 비판이 재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금융산업의 건전성 관리 △수출·투자 등 실물경제에 대한 자금 공급 △가계부채 관리 △중소기업 및 서민 지원 방안 △금융소비자 및 투자자 보호 등에 대한 문제가 논의됐다.
김 위원장은 “단기지표금리와 관련해 기존 상품잔액, 다양한 이해관계자 등을 감안할 때 CD금리를 단시일 내에 폐지하기는 어렵다”며 “CD의 발행, 유통시장 등의 정상화를 위해 은행권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금융산업의 건전성 확보에 대해선 “연말까지 부실채권 관리를 철저히 하고, 대손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해 위기대응 여력을 선제적으로 확충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주기적인 스트레스 테스트 등을 통해 건전성과 유동성을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수출과 투자 부문 등 실물경제에 대한 자금 공급도 확대키로 했다. 김 위원장은 “수출·투자와 관련한 기업에 자금 공급을 최대한 확대하고, 워크아웃기업에 대해서는 주채권은행을 중심으로 채권단이 경영정상화를 책임지고 추진할 것”을 강조했다.
가계부채 관리에 대해선 “실수요자에 대한 대출은 차질없이 공급하고, 비거치식 분할상환대출·고정금리대출의 비중을 확대할 것”이라며 “금융회사 스스로 차주의 채무상환기간을 재조정하거나 원리금 상환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시행 방안을 자체적으로 마련하라”고 각 금융지주사에 당부했다.
김 위원장은 또한 금융소비자와 투자자 보호와 관련, “금융권 스스로 설명의무 이행, 대출서류 관리 등 내부 통제절차 개선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달라”며 “금융지주사 자체적으로 소비자 권익보호 담당 조직을 만들어 최고책임자를 지정하는 등 금융소비자 보호에 앞장서 달라”고 말했다.
개별 금융지주사들은 이날 간담회에서 논의된 사항을 구체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세부적인 방안을 1개월 이내에 발표하기로 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권혁세 금융감독원장과 금융위 사무처장, 대변인 등이 배석하고,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 한동우 신한금융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 강만수 산은금융 회장, 신동규 농협금융 회장, 민병덕 KB국민은행장 등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