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이준석 전 비상대책위원은 26일 안 원장을 겨냥해 “‘룸살롱’ 기사에 대해 징징대면 안 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 전 비대위원은 이날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출마선언하고 당당히 정책 얘기하면 그게 기사화될텐데 안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특히 그는 “정치인은 하고 싶은 말만 하는 존재, 나서고 싶을 때만 나서는 존재가 아니라는 건 나도 안다”며 안 원장의 행보를 비꼬기도 했다.
그러면서 “(사실상) 대선 후보라 대중의 관심은 높고 담당은 배정됐고 그 관심에 맞게 데스크에서는 뭐라도 기사를 뽑아내라고 했을 테고 그러다 보니 룸살롱 기사도 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 원장 측은 최근 각종 루머에 대해 직접 해명에 나서는 등 적극적인 대응 모드로 돌아선 상태다.
‘안철수 룸살롱’이라는 검색어가 포털사이트 검색 1~2위에 오르내리고, 정치권 안팎의 공세가 강화되자, 더 이상 지켜볼 수만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안 원장 측 금태섭 변호사는 25일 경찰이 지난해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에 대해 룸살롱 출입여부 등 광범위한 ‘뒷조사’를 벌였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에 대해 “정말 경악스럽다. 검증공세의 진원지가 경찰의 불법사찰이었다. 정말 너무 황당해서 말이 안 나온다”며 강력 반발했다.
금 변호사는 트위터, 페이스북 등 자신의 SNS를 통해 “이름만 대면 알만한 정치인, 전직 고위 공직자 등이 기자들 앞에서 얘기를 했다고 전해 듣기도 했다”면서 “이런 소문을 조직적으로 유포하는 것이야말로 구태라고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또 최근 모 월간지는 ‘안 원장이 룸살롱에서 술을 마신 적이 있다’는 주장을 보도했고 이에 대해 안 원장 측에서 “대꾸할 가치가 없다”고 반박하자,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 후보가 “본인이 확실히 밝히면 간단하게 해결될 문제”라고 주장해 논란이 확산되기도 했다.
공교롭게도 박 후보의 ‘주문’대로 안 원장은 이와 관련 지난 24일 언론에 이메일을 보내 “1998년 이후 15년간 술을 마시지 않았다”면서도 “다만 사업상 모임에서 참석자 대부분이 술집에 갈 때 술을 마시지 않고 동석했던 적이 두세차례 있다”고 해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