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 물가기사 그리고 ‘조작된 팩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8-28 15:2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정우 기자= 이상기온에 채소 값이 급등하면서 식탁물가 관련 기사가 연일 줄을 잇고 있다.

그럴 만도 한 게 상추, 시금치, 오이 등 뭐하나 안 오른 게 없다. 숨 쉴 때 마시는 공기만 빼고 먹을 수 있는 것은 다 올랐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올 정도니 말이다. 해당 분야 출입기자의 경우 물가 기사를 건들지 않고서는 견디기가 힘들다.

매일 반복되는 언론의 밥상물가 걱정에 국민의 밥상을 책임지는 농림수산식품부도 힘든가 보다. 최근 만난 농림수산식품부의 한 관계자는 물가 기사와 관련해 기자에게 이런 불만을 토로했다.

“요즘 물가 기사를 보면 참 가관이에요. 상추 값이 올랐다고 하면서 수치적으로 가격 상승세가 가파른 적상추를 기사에 적는데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먹는 게 청상추 아닙니까?”

그의 토로는 계속 이어졌다.

“가격비교 시 상승폭이 두드러지는 시기와 비교하는 기사도 아니라고 봅니다. 일관성 있게 비교해야지 어떤 품목은 지난달과 비교하면서, 또 다른 품목은 지난달이 아닌 보다 상승폭이 큰 지난주와 비교하는 건 무슨 경운가요? 심지어는 뜬금없이 평년가격과 비교하는 기사도 있어요. 이건 팩트를 교묘하게 조작하는 것 아닌가요?”

기자 역시 그의 지적들과 정확히 일치하는 기사를 여러 번 작성해 온 입장에서 뭐라고 항변이라도 해야했지만 차마 할 수가 없었다. 틀린 말이 하나도 없었기 때문이다.

물가 관련 기사를 쓰는 기자들 입장에선 사실 방법이 없다. 가파른 상승 및 하락세가 있어야 만이 기사가 되고 자극적이어야 사람들이 읽는다. 그리고 나름대로 ‘조작된 팩트’는 이런 굴곡을 만들어 준다.

언론이 대중의 입맛을 변하게 한 건지 아니면, 대중이 언론을 바꿨는지는 알 수 없지만, 뭔가 씁쓸한 기분이 밀려오는 건 막을 수 없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