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핵의학과 안영실 교수팀은 국내에서 성폭행(강간)을 당한 19~51세의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뇌검사를 한 뒤 정상 여성 15명(32~53세)의 뇌 영상과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성폭행 피해여성을 포함해 모두 27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뇌 영상을 볼 수 있는 ‘단일광자단층촬영(SPECT)’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을 한 뒤 뇌영상분석프로그램(SPM2)으로 뇌 혈류량과 당 대사를 비교 관찰했다.
관찰결과 성폭행 피해 여성들은 뇌의 좌측 ‘해마(hippocampus)’와 ‘기저핵(basal ganglia)’ 부분의 뇌 혈류가 정상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피해 여성들의 뇌영상에서는 심하게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는 등의 과다 각성상태도 관찰됐다.
그동안 전쟁이나 재난을 겪은 환자들에게서 뇌 기능의 이상이 관찰된 적은 있지만, 성폭행 피해 여성들에게서 이 같은 이상이 검증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안 교수는 “성폭행 피해여성은 피해 당시의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2차, 3차의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