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해상용으로 사용하던 1m 이내 DGPS 위치정보를 육상교통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국토부는 전국 17개소에 GPS 보정국을 2009년 구축 완료해 약 10~30m의 오차가 있는 GPS 위치정보를 1m 이내까지 보정한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제공해왔다.
DGPS 정보를 받을 때는 수신기가 별도로 필요해 지금까지 항해 선박과 측지·측량, 산림자원관리 및 인터넷을 통한 후처리 데이터 등에서만 제한적으로 이용돼 왔다.
하지만 지난 2010년 8월부터 별도의 수신기가 필요 없도록 지상파 DMB를 통해 DGPS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함에 따라, DMB 수신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스마트폰 등을 통해 고정밀 위치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 기술을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것으로, 향후 DMB 방송과 관련 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할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했다.
국토부는 KBS, MBC, SBS, YTNDMB 등 4개 지상파 DMB 방송사와 상호 협력해 9월부터 약 1년간 시험방송을 실시할 예정이다. 상용화 예정 시기는 2014년으로, 차량 네비게이션과 육상 교통·물류, 레저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
DGPS 구축현황 및 이용 범위도.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