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주요경제지표 악화일로, 성장률 8%대 유지 가능하다?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가 악화하고 있는 가운데 유효한 대응책을 내놓을 경우 올해 경제성장률이 8%대를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샤먼(下門)대학과 징지찬카오바오(經濟參考報)는 2일 경제 추계예측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시의적절하게 금리를 낮추고 광의통화(M2) 증가율 14%를 확보한다면 성장률이 8.01%로 8%대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중국 정부가 과거에 취했던 일련의 경기부양정책의 효력이 상반기부터 가시화되기 시작했다며 적절한 통화완화정책이 뒤바침 된다면 3,4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이 8% 대를 회복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같은 관측은 상하이 종합지수가 8월 31일 2047.52로 마감해 2000선 붕괴 가능성이 증대되고 중국의 제조업 구매자 관리지수(PMI)도 49.2로 9개월만에 처저를 기록하는 등 경기 불안감이 증폭되는 가운데 나온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지난 7월 한달만 30억 위안의 핫머니가 빠져나가는 등 경기하강세가 부각되면서 중국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

다른 한편으로 보고서는 개혁개방 이후 이미 30여년 동안 두 자릿수의 고성장을 유지해왔다며 중국 경제성장률이 7.6~7.8% 정도로 하향안정화되는 것이 정상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올해 예상 성장률 8.01%는 정부가 연초 제시한 7.5% 목표치를 상회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와함께 과거처럼 지나친 재정확대와 투자위주의 경기부양정책은 중국 경제의 질적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 경기위축의 조짐이 감지되기 시작하자 중국 각 지방 정부가 앞다투어 각종 대규모 투자프로젝트 추진계획을 발표했으며 벌써 그 규모가 10조 위안에 달하고 있어 위험한 상태라는 것.

이같은 정부중심, 투자중심의 부양책은 경제성장 회복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인플레이션 유발, 구조적 불균형 심화 등 부작용이 크다는 지적이다. 또한 지방정부 부채규모가 막대한데 자금조달 루트는 오히려 줄어들면서 지방정부 디폴트 리스크가 급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