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은 3일 국회에서 최고위원회를 열었지만, 혁신 재창당 안건에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6일 예정된 중앙위원회도 무산되는 등 봉합책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분당 수순에 돌입했다.
강기갑 대표는 3일 오후 분당이 임박한 당 내부 사태에 대해 책임을 지고 단식에 들어갔다.
신당권파로 분류되는 강 대표는 국회의사당 내 당 의정지원단에서 단식을 시작하며 낸 성명에서 “혁신재창당을 실현하고 분당을 막기 위해 동분서주 했지만 저의 불찰과 부족함으로 파국을 눈앞에 두고 있다. 사실상 혁신이 실패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그는 “이 단식은 협상을 위한 것도 그 누구를 압박하기 위한 것도 아니다”라고 밝혀 구당권파와의 혁신재창당 논의가 사실상 끝났음을 시사했다.
앞서 최고위에서도 신구당권파 간 격론이 벌어졌다.
구당권파 측인 유선희 최고위원은 “두 의원 사퇴 문제에 관해서는 당내 절차를 밟아왔고 의원단에서 최종 제명안을 부결한 상황을 인정하고 존중해야 한다”며 “당을 정상화하고 진보정당 본연의 역할을 다 할 것을 요구한다”고 지도부 책임론을 제기했다.
이에 신당권파(구 참여당계)인 천호선 최고위원은 “당원 뜻이 한 사람에 의해 전복된 사실을 존중하라고 강요할 순 없다”며 “오늘 이후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모든 경우의 수를 고민하고 생각해왔지만 이제 결단을 내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강 대표는 최고위를 주재하는 자리에서 “제대로 당을 이끌지 못했고, 이 엄청난 사태와 국민 앞에 보인 여러 추한 모습들에 대해 수습하지 못한 책임감을 통감한다”면서 “국민들과 당원들께 석고대죄하고 백배사죄하는 마음으로 지금 이 순간부터 단식으로 속죄하는 시간을 보내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편 노회찬 의원은 같은 당 김재연 의원과 함께 부정 경선 의혹의 중심에 있는 이석기 의원에게 ‘의원직 동반 사퇴’를 제안했다.
노 의원은 이날 당 홈페이지 당원게시판에 ‘마지막으로 호소드립니다’라는 글을 통해 “오늘까지의 상황을 볼 때 파국은 이미 임박해 있다”며 “속죄하는 심정으로 저와 함께 인당수에 몸을 던져 국민에 대한 죄송함과 밑바닥에서부터 다시 노력하겠다는 결의를 보여드리자”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