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G CNS 직원과 현지 시스템 운영자가 모바일을 통해 태양광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
LG CNS는 최근 불가리아 얌볼(Yambol), 발친(Valchin), 스코벨레보(Skobelevo), 스몰릭(Smolnik) 4개 지역에 21.3MW급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약 4400만 유로(한화 약 654억원) 규모로 아스트로너지 쏠라코리아가 발주했다.
LG CNS는 시스템 설계부터 자재 조달, 시공 등을 모두 맡아 이번 사업을 진행했으며 이번에 구축된 20MW급 태양광 발전시설은 일반 가정 7500여 가구가 연간 이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하는 규모다.
이를 통해 연 13만8000t 이상의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가 있는데 이는 어린 소나무 5000만 그루를 심는 것과 동일하다.
이번 불가리아 프로젝트는 LG CNS가 개발한 스마트 그린 솔루션(SGS)을 적용한 첫 번째 해외사업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SGS는 빌딩 한 채부터 대규모 도시까지 손쉽게 스마트 그린화(化) 할 수 있는 통합솔루션’으로서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운영 및 제어하는데 필요한 운영체제(OS)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불가리아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운영자가 컴퓨터 한 대만으로 실시간 발전량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갑자기 발생할 수 있는 장애 상황에 대한 사전 감지도 가능하다. 또한 향후 모바일을 이용한 시스템 원격 제어는 물론 발전소 추가 건설 시에도 한 곳에서 모든 시스템 상황을 통합관리 할 수 있다.
LG CNS는 불가리아가 최근 태양광, 풍력 등에 과열된 투자 붐을 조절하기 위해 관련 법안을 개정할 만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 이번 태양광 시스템 구축이 본격적인 해외 시장 공략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박진국 LG CNS 공공·SOC사업본부장은 “불가리아 태양광 사업 성공은 동유럽, 동아시아 등 신재생에너지 투자가 늘어나고 있는 해외 태양광 시장 진출의 교두보가 될 것”이라며 “글로벌 파트너 기업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해외사업 비중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