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류머티즘·당뇨병' 한 번에 진단

이지원 고려대 교수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바이오-나노의 소재와 기술을 융합해 다양한 질환의 표지인자를 정확히 검출하는 신기술이 개발됐다.

에이즈나 자가면역질환(류머티즘, 소아당뇨병 등)을 한 번에 진단할 수 있는 의약품 개발도 가능할 전망이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지원 고려대 교수팀이 단백질 나노입자(인간 훼리틴)로 3차원 프로브를 만들고, 이를 흡수성이 높은 젤(Hydrogel)과 화학적으로 융합함으로써 안정적인 3차원 입체형 프로브 시스템을 개발하여 질환 진단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기술은 한 번에 2개 이상의 질환 표지인자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인간 훼리틴은 24개 요소들이 스스로 하나의 단백질로 구성된(자가조립) 나노크기의(10억분의 수미터) 원형 입자로, 사람으로부터 나온 단백질 나노입자이면서도 대장균을 이용해 대량생산한다.

또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해 훼리틴 나노입자 표면에 다양한 프로브를 입체적으로 표출할 수 있어 극소량의 질환 표지인자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증상만으로 정확히 진단하기 어려운 에이즈와 쇼그렌 증후군을 기존의 진단제품에 비해 최대 200배 낮은 농도에도 검출, 두 질환을 동시에 진단하는데도 성공했다.

이 교수는 “앞으로 난치성 질환의 치료와 예방뿐만 아니라 차세대 진단기술 개발에도 새로운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