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12일 중국과 동남아 지역에 잘못 알려진 고려인삼의 승열작용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한국·중국 국제공동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그동안 고려인삼은 먹으면 열이 올라간다(승열)는 일부 소비자들의 오해와 이에 따른 해외 바이어들의 부정적인 시각 때문에 해외시장 확대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과거 국내 일부 연구진이 승열 부작용이 없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으나 근거가 부족, 논란을 잠재우지 못했다.
이에 농진청에서는 승열 부작용과 관련한 과학적 규명을 위해 중국, 캐나다 등의 유명과학자들과 함께 국제공동 임상연구를 수행, 지난 3년간 연구에 매진해 왔다.
농진청에 따르면 체온과 열이 오를 때 나타나는 증상을 점수로 환산한 결과, 고려인삼(Panax ginseng)과 서양삼(Panax quinquefolium)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불면증, 졸림, 변비, 체중증가 등 어떠한 부작용도 발생하지 않았다.
농진청 관계자는 “고려인삼의 부작용으로 인식되고 있는 승열 작용이 없음이 과학적으로 밝혀졌고 식품으로서의 안전성도 입증됐다”며 “연구결과 고려인삼이 당뇨와 심혈관 질환 개선에도 효과가 있음이 확인돼 후속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농진청은 오는 13일 중국 광동성에서 최근 연구결과로 입증된 고려인삼 효능의 우수성에 대해 알리고 승열작용 오해의 해소를 위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