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김동수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
12일 공정위 관계자에 따르면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은 지난 11일 간부회의를 통해 경쟁정책 현안에 대한 부서별 적극 대응을 주문했다.
김동수 공정위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국정감사를 앞두고 각국별 경제현안에 대해 적극 대응하라”라며 “신임 국장들도 준비기간 없이 현안을 바로 장악할 것”이라고 지시했다.
더욱이 김형배 시장감시국장과 신영선 경쟁정책국장, 김석호 기업협력국장, 해임 후 보직을 받은 이성구 서울사무소장 등 신임 인물들의 교체 바람과 동시에 첫 주문이라는 점은 강력한 의지가 내제됐다는 관측이다.
이 발언을 두고 대기업의 부당한 내부거래 및 불공정행위, 유통 및 전자상거래 부당행위 등 최근 현안에 대한 분발 의지의 뜻이라고 공정위 내부 관계자는 해석했다.
하지만 ‘4대강 건설사 담합 솜방망이 제재’ 등 공정위를 향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어 앞으로 다가올 국감을 놓고 철저한 준비를 당부했다는 게 정치권의 판단이다.
현재 공정위는 상임위원부터 실국장급 등은 김동수 위원장 라인 체재로 사실상 조직을 장악한 상태다. 아울러 ‘경제민주화’ 분위기와 편승해 재계를 향한 김동수 정책에 태클을 걸 자가 없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4대강 담합 부실 제재’라는 여론의 뭇매다. 이 때문에 공정위의 분위기 쇄신을 위한 특별 주문이라는 평도 조직 내부에서 흘러나온다.
흠집난 공정위의 위상을 다잡기 위해서라도 국감을 전후, 재계를 향한 칼날은 더욱 매서워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공정위 고위 관계자는 “코앞으로 다가온 국감을 준비하는 건 맞다”며 “그러나 신임국장을 비롯해 각급 간부들에게 주문한 것은 부서별 역할에 더욱 매진하라는 뜻으로 파악한다”고 말했다.
한편 김동수 위원장은 지난 5일 부산 서울경쟁포럼에서 유통업계 ‘백지 계약서’ 관행 개선을 언급하면서 대규모유통업법 적용 첫 사례가 될 수 있다는 뜻을 강조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