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문재인 싸움은 이제부터...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대선출마를 예고함에 따라 야권 후보단일화가 벌써부터 핵심이슈로 급부상하고 있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의 당내 경선 승리가 확실시되면서 안 원장과 야권 대선후보 자리를 놓고 치열한 다툼이 예상된다.

우선 안 원장이 출마할 경우, 민주당내에서 그의 지지세가 얼마나 확산되느냐가 관건이다. 안 원장의 출마 시점이 민주당 경선이 끝난 직후가 될 전망이다. 민주당은 경선 내내 지도부 선거 개입 등 불공정 논란으로 문 후보와 비문(비문재인) 진영이 사실상 내전을 벌이고 있다. 때문에 문 후보에 반감을 가진 비문 진영이 안 원장에 대해 비판적 지지를 할 가능성이 있다. 외곽을 돌던 안 원장에게 민주당 의원들의 지지는 원동력이 될 뿐만 아니라 적전분열이라는 효과도 얻는다.

그러나 민주당 의원들의 지지선언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 2002년 16대 대선 당시 새천년민주당의 후보단일화추진협의회 학습효과 때문이다. 후단협은 결국 노무현 후보와 정몽준 후보간 단일화를 이끌어내 대선 승리에 긍정적으로 기여했다. 그러나 민주당내에서는 후단협 의원들을 자당 후보를 흔든 ‘배신자’로 낙인찍었다.

민주당 정성호 대변인은 “실제 후단협 소속 의원의 3분의 2는 후보단일화를, 3분의 1은 정몽준 후보를 지지했었다. 그러나 대선 이후 모두 당을 팔아먹은 배신자 취급당했다”며 “이런 전례가 있어 후단협 같은 활동을 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 중립 성향의 초선 의원도 “아무리 당내 경쟁적 관계에 있더라도 정당의 후보가 결정된 이상 결과에 승복하고 지지하는 게 맞다”며 “어떻게 민주당에 있으면서 안 원장을 공개지지하겠느냐”고 반문했다.

후보단일화 방식도 안 원장과 문 후보의 대결지점이다. 1997년 김대중-김종필 후보의 DJP 연대 담판 방식과 2002년 여론조사 방식 등이 유력시되고 있다. 민주당의 모바일 투표에 대해선 역선택과 조직동원 등 여러 부작용으로 채택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양자의 지지율과 단일화 시기다. 지지율이 한 사람에게 집중적으로 쏠린다면 여론조사 등 경선보단 담판으로 단일화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양자의 지지율이 팽팽하다면 경선으로 갈 가능성이 있는 데 대선일에 가까워질수록 여론조사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장 투표 등의 경선준비를 위한 물리적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야권 한 관계자는 “어떤 방식이든 후보단일화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내 정권을 교체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며 “일정 기간 안 원장은 독자노선을 걷고 민주당 후보는 지지율을 끌어올리는 다자구도로 대선레이스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