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국토해양부 실거래가 조사에 따르면 지난 7월 경북 포항시 장성동 롯데낙천대아파트 전용면적 85㎡ 4층이 1억4000만원에 전세 계약됐다. 하지만 같은 단지의 같은 면적인 5층 아파트는 1억3900만원에 매매로 팔렸다. 동일한 조건의 아파트에서 전셋값이 같은 시기 매매가격보다 100만원 더 비쌌던 것이다.
대구 달서구 본동 그린맨션 2차 85㎡도 7월 매매가는 1억2000만원(6층)으로 같은 달의 전셋값 1억2500만원(10층)과 비교해 500만원 저렴했다.
경북 구미시 구포동의 성원아파트 60㎡ 1층이 8000만원에 팔려나간 반면 같은 면적 13층은 8300만원에 전세 계약이 이뤄졌다.
광주광역시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광주 광산구 우산동 시영1차 50㎡ 8층은 두달 전 5500만원에 팔렸지만, 전세 실거래가는 12층 6000만원, 15층 5500만원으로 매매가와 같거나 더 비쌌다. 지난 6월 광산구 송정동 명지2차 85㎡ 7층 전세가도 같은달 신고됐던 1층 매매가격과 같은 1억2500만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 같은 현상은 전세 수요는 꾸준한 반면 공급은 모자라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대구 달서구 본동 한 공인중개사는 "전세 물건이 워낙 없다보니 전셋값이 오르는 것"이라며 "집주인으로서는 이왕이면 전세보다는 월세를 내놓으려고 한다"고 전했다. 저금리 시대를 맞아 집주인들의 월세 선호 현상이 뚜렷하다는 얘기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지방 아파트의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고 있다.
국민은행 조사 결과 8월 현재 지방의 아파트 전세가율은 광주 77.1%, 경북 74.3%, 대구 72.7%, 울산 72.3%, 전남 71.6%다. 전국 평균(61.7%)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은 것이다.
국민은행 박원갑 수석부동산팀장은 “집값 상승 기대감이 거의 없다보니 집주인들이 높은 임대료로 보상을 받고 싶어한다”며 “전세 물건이 많지 않아 ‘부르는 게 값’인 상황이어서 원래 가치보다 전셋값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남수 신한은행 부동산팀장은 “서울·수도권과 달리 지방은 전세 수요가 매매 수요로 전환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전세가 상승이 매매 거래 활성화로 이어지면서 전셋값이 안정되면서 가격 역전 현상도 많이 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