앤디 셰(謝國忠) 전 모건스탠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7일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ㆍ일 영유권 분쟁이 세계 경제에 또 다른 충격을 주고 있다”며 “중국은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줄어드는 정도의 희생을 치를 것이지만 일본은 자동차산업에 희망을 걸고 있어 충격이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 자동차시장인데 독일과 미국, 한국의 자동차 판매량은 지난달 10%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일본 브랜드의 승용차 판매량은 감소세를 나타냈다.
일본의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열도) 국유화에 대한 항의 시위가 격화되면서 중국에 진출한 현지 일본 기업들도 피해를 보고 있다.
중국 칭다오(靑島)의 도요타자동차 대리점과 파나소닉 공장이 중국 시위대의 습격을 받은 것이다.
뤄레이(羅磊) 중국자동차유통업협회 부비서장은 “일본 자동차를 판매하는 중국 대리점들도 시위대 공격으로 일부 영업점들이 파손되자 아예 문을 닫았다”고 밝혔다.
뤄레이 협회 부비서장은 “대다수 중국 시민들이 일본 상품 불매운동은 물론 안전상의 이유로 일본 자동차를 사지 않으려 한다”며 “자연재해로 촉발된 충격은 빨리 치유되지만 일본 자동차에 대한 적대감을 없애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AP통신은 중국이 영유권 분쟁에서 우위를 점하려고 일본 상품 불매운동 같은 일본에 경제적 타격을 주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국가관광총국은 지난주 전국 여행사들에 오는 10월 초 국경절 연휴 때 일본 관광상품을 취소하라고 지시하면서 손해는 보상하겠다고 약속했다.
중국 중앙(CC)TV는 지난 주말 2개 주요 채널에서 일본 상품 광고를 중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