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전국의 3만2673개 공공연구기관과 연구개발활동기업 등을 대상으로 ‘2011년도 연구개발 활동조사’를 설문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고 17일 밝혔다.
우리나라의 연구개발비는 미국 4016억달러, 일본 1788억달러, 중국 1043억달러, 독일 926억달러, 프랑스 578억달러 등에 이어 세계 6위권 규모다.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4.03%로 이스라엘 4.40%에 이어 세계 2위 수준으로 분석됐다.
이어 핀란드 3.88%, 스웨덴 3.40%, 일본 3.26% 순이었다.
재원별로는 민간재원이 36조7753억원(73.7%)으로 가장 많고 정부·공공부문이 13조33억원(26.1%), 외국재원이 10118억원(0.2%)을 차지했다.
연구수행주체별로는 기업이 우리나라의 총 연구개발비의 76.5%에 해당하는 38조1833억원을 수행했다.
연구개발단계별로는 기초연구가 9조132억원(18.1%), 응용연구 10조1165억원(20.3%), 개발연구 30조7607억원(61.6%)으로 나타났다.
기초연구 단계 투자는 전년보다 12.8% 증가했으며 응용연구와 개발연구 단계 투자도 각각 전년 대비 15.7%, 13.4% 증가했다.
연구개발 인력은 총 37만5176명으로 전년보다 8.5%인 2만9264명이 늘었다.
연구개발 업무에 전념하는 상근상당연구원 수는 28만8901명으로 세계 6위 수준이다.
경제활동인구 1000명당 상근상당연구원 수는 11.5명으로 아이슬란드, 핀란드, 덴마크, 대만에 이어 5위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