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비축용 벼 매입은 자연재해 등 식량위기에 대비하기 위해 추진되는 것으로 올 12월 31일까지 106일간 실시되며, 산물벼(9.17~11.9)와 포대벼(10.22~12.31)로 나누어 매입한다. 산물벼는 1만834톤, 포대벼는 7,682톤을 각각 매입한다.
매입가격은 포대벼의 경우 통계청에서 조사한 2012년 10~12월 전국 평균 산지쌀값을 조곡으로 환산한 가격으로, 우선지급금은 1등급 기준 40kg 1포대 당 4만9,000원이다. 이는 지난해보다 2,000원 인상된 가격이다.
산물벼는 포대벼 우선지급금에서 포장 제비용 820원(포장재 420원, 포장임400원)을 공제한 4만8,180원이 우선 지급되며, 산지 쌀값 조사 결과에 따라 2013년 1월 중 사후 정산한다.
도는 이번 매입에서 소포장(40kg)과 톤백(800kg)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출하할 수 있도록 해 포대벼 출하 시 노동력 부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했다.
도 친환경농헙과 관계자는" 벼 매입 시 수분함량이 13~15%이므로, 덜 건조되거나 과잉 건조되지 않도록 농가의 주의를 당부한다."며 " 농식품부와 협의해 올해 태풍 등 기상 이변에 따른 백수피해 벼에 대해서도 피해면적과 출하 희망량 파악 후 10월 중 별도 매입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