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통현장증언-13>류현 천해성장식 사장 “중국에서 중소기업 운영한다는 것은~”


아주경제 베이징 특파원 조용성 기자 = 18년째 중국 사업을 하고 있는 류현 천해성장식 사장은 중국에 진출한 중소기업들의 최대 난관은 금융 대출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류 사장은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금융권의 자금지원 없이는 쉽게 버티지 못한다”고 말한 뒤 “중국에서 영업이나 기획, 거래선 개척, 납기맞추기, 자재조달 등 어떤 분야보다도 은행 대출이 가장 어려웠다”고 토로했다.

류 사장에 따르면 중국계 은행은 한국의 중소기업들에게 대출을 해주지 않는다고 한다. 일단 중소기업은 신용이 높지 않기에 신용대출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담보가 있다고 하더라도 담보대출을 해주지 않는다. 류 사장은 “한국인 사장들이 야반도주를 해버리면 원금회수가 어렵기 때문에 중국은행들은 외국인 자산에 대한 담보설정을 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게다가 중국에 진출한 한국계 은행들로부터 대출을 받기도 어렵다.

그는 “중국의 부동산이나 건물이나 장비를 담보로 한 대출은 한국계 은행에서도 불가능에 가깝다”며 “한국계 은행들의 현지 채권회수 능력이 떨어진다는 게 그 이유 ”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결국 한국계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려면 한국에서 담보를 제공해야 하거나 현지에서 지인의 예금을 유치한 후 예금에 질권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힘든 과정을 거쳐야 한다. 한국에서 담보를 제공한다면 한국은행으로부터 자산해외밀반출에 대한 심사를 받아야 하며, 중국에서 예금담보를 유치했다면 중국 인민은행으로부터 예금주의 금융대여자격 인증을 받아야 한다.

류현 사장은 “대출을 받기 위한 과정 하나하나가 중소기업에게는 너무나도 큰 고통”이라며 “중국계 은행은 차치하고라도 일부 한국계 은행들의 행태와 실체를 보면 해도 너무한다는 생각이 들 때가 한 두번이 아니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많은 중소기업들이 중국에 진출했다가 버티지 못하고 철수하는 이유 중 가장 큰 것이 금융부분에서의 애로사항”이라며 “중국진출하기 전에 금융지원에 대한 준비를 충분히 해 둘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중소기업은 인적 경쟁력이 중요한 만큼 개개인의 현지화도 강조됐다. 그는 “중국인과 생활하면 할 수록 현지화라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면서도 “그렇지만 중국인의 체질, 음식습관은 물론이고 말과 뉘앙스까지도 알아들어야 하며 본인의 의사를 전달하는 것은 기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예를 들어 괜찮다라는 뜻인 차부둬(差不多)라는 단어는 상황에 따라 부정적인 뜻으로 사용된다”라며 “협상과정에서 상대방이 차부둬라고 대답했다면 이는 거절로 봐야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하오더(好的, 좋다) 즈다오러(知道了, 알겠다) 등의 말을 승락으로 오해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언어상으로 이정도의 뉘앙스를 파악해 놓지 않아 낭패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또한 중국인들과의 협상과정에서 그들이 제시하는 화려한 양보안이나 유인책이나 혜택에 현혹되지 말라는 조언도 했다. 류 사장은 “중국인들은 왠만한 것은 모두 양보하면서도 칼자루만은 놓지 않는다”라며 “지분구조라든지 영업핵심망이랄지, 재무 정보소스 등 핵심분야는 손에 놓지 않고 있다가 나중에 이를 매개로 주도권을 다시 빼앗아가고 말더라”라며 자신의 경험들을 소개했다.

중국에 존재하는 외국업체들의 진입장벽 역시 중소기업에게는 높기만 하다. 인테리어를 주업종으로 하고 있는 천해성장식으로서는 중국의 선인허가 제도가 넘어야 할 산이었다. 한국과 달리 중국에서는 인테리어가 건축법의 제한을 받아 까다로운 사전허가를 받아야 한다. 류현 사장은 “사전인허가 과정은 중국기업에게는 관대하지만 외국기업에게는 원칙적으로 적용된다”며 “중국기업은 각종 꽌시(關係)를 동원해 하루만에 인허가를 받아내기도 하지만 외국기업들은 한달 이상 기다린 경우가 허다하다”고 전했다. 그는 “디자인 능력이나 시공 설계경험이 쌓여있는 우리 기업들은 기술경쟁력이 뛰어나지만 불공정한 수주관행이나 차별적인 행정처리 등 보이지 않는 부분에서 중국기업들에게 밀리는 게 현실”이라며 “중국진출을 계획하는 우리 기업들이라면 이처럼 보이지 않는 곳까지도 먼저 알아보고 현지 전문가를 확보해 두는 등의 대비책을 마련해 놓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