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신규 모바일 악성코드 1만 3000종.. 전년 대비 7.2배 증가

  • 美 맥아피 보고서 발표

아주경제 강규혁 기자=모바일 악성 코드의 수가 급증하고 있다.

19일 미국의 보안솔루션 업체 맥아피(McAfee)의 '2012년 2분기 보고서(McAfee Threats Report: Second Quarter 2012)'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신규 모바일 악성 코드는 1만 3000여 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의 1800여 종에 비해 7.2배 가량 증가한 수치다.

특히 웹페이지 접속만으로도 감염이 되는 악성코드인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drive by download)' 가 모바일에서도 등장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보고서는 트위터를 모바일 봇넷(좀비 네트워크)에 이용하거나, 모바일 랜섬웨어(ransomware: 파일을 암호화해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등 수법으로 돈을 요구하는 악성코드)의 등장도 '새로운 위협'으로 지목했다.

또한 감염된 단말기를 통해 단문메시지서비스(SMS)를 발송하는 악성코도 증가하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최근에는 기존의 PC용 기술이 안드로이드용 악성코드를 만드는데 이용되고 있다"며 "모바일 악성코드는 초기 단계를 넘어 이미 충분히 기능을 발휘하는 단계로 발전해 소비자들과 기업들의 데이터를 노리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악성코드가 가장 많이 유포되는 지역은 절반 가량을 차지한 유럽과 중동으로 나타났으며, 북미지역이 30%로 뒤를 이었다.

한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악성코드의 45%를 유포하는 것으로 조사돼, 가장 심각한 악성코드 유포지로 지목됐다.

전 세계 스팸 메일의 양이 소폭 하락하는 추세 속에, 조사 대상 16개 국가 중 일본·콜롬비아·베네수엘라와 함께 스팸 메일 양이 10% 증가한 네 나라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