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기자의 버디&보기> ‘인접 클럽간 거리차=10야드’ 선입관 벗어나라

  • 메이커· 기량· 환경 따라 15야드이상 날 수도 있어


아주경제 김경수 기자= 홀까지 120야드를 남기고 시도한 9번아이언샷이 잘 맞아 파를 기록했다. 이번에는 홀까지 130야드. 생각할 것도 없이 8번아이언을 들었다. 그러나 볼은 홀에 턱없이 못미친다.

왜 그럴까.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거리측정을 잘못했거나, 제대로 맞지 않았거나, 깃대가 뒤쪽에 꽂혔거나 등등. 그런데 이 때 인접 클럽간 거리차는 ‘반드시 10야드’가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은 해보지 않았는가.

골퍼들은 대개 인접 클럽(아이언)간에는 ‘기계적’으로 10야드(또는 10m) 차이가 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꼭 그렇지 않다.

프로골퍼 필 미켈슨과 박지은, 그리고 일반 아마추어의 클럽별 거리를 본다. 미켈슨의 경우 3번아이언부터 로브웨지까지 인접 클럽간 거리차는 최소 10야드, 최대 20야드나 난다. 평균 14야드(12.7m)다. 박지은은 4번아이언부터 로브웨지까지 재보았는데 인접 클럽간 거리차는 최소 10야드, 최대 17야드이고 그 평균치는 12.2야드(11.1m)다. 골퍼들이 생각하는 차이보다 크다는 것을 알수 있다.

아마추어들의 클럽 거리는 쇼트게임 전문교습가인 데이브 펠츠의 조사를 인용했다. 펠츠가 미국 시카고근교 메디나CC(올해 라이더컵 개최지)에서 남자 아마추어 골퍼들을 대상으로 아이언별 거리를 조사한 결과 피칭웨지부터 3번아이언까지 인접클럽간 거리 차이는 최소 7야드, 최대 16야드가 났다. 평균 9.7야드(8.8m)다. 이 조사 역시 인접클럽간 거리차가 일률적이지 않음을 보여준다.

프로든 아마추어든, 인접 아이언간 거리차이가 10야드가 아닌 것은 클럽메이커간의 편차나 골퍼들 기량차이에서 비롯된다. 요컨대 자신이 쓰고 있는 아이언의 클럽별 거리와 인접클럽간 거리차이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잘 치고도 낭패를 보는 일’이 없어진다는 말이다. 클럽의 정확한 거리는 클럽당 볼 20개를 친 뒤 가장 멀리 나간 것 5개와 가장 짧게 나간 것 5개를 제외한 나머지 볼의 평균치를 내면 된다.

펠츠는 거기에 하나를 덧붙인다. 피칭웨지와 샌드웨지 외에 갭웨지나 로브웨지를 갖추라는 것. 보통 피칭웨지와 샌드웨지의 거리차이는 20∼40야드에 달하기 때문에 그 간격을 메워주는 갭웨지나,70야드이하에서 풀스윙을 할수 있는 로브웨지를 보충하는 것이 스코어를 줄일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