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U전권회의는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4년마다 한번 씩 개최되며 세계 각국이 참가하기 때문에 정보기술(IT) 올림픽이라고도 불린다.
2014년 부산전권회의는 193개국 정상과 장관을 비롯해 800여개 국제기구·기업 관계자 등 총 3000여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ITU전권회의는 방송통신인들의 단순한 사교의 장이 아니다.
세계 각국 정부, 민간 관계자들이 정보통신분야의 주요 현안과 정책 방향을 의논하고 협력을 통해 결정하는 자리이다.
지난 2010년 멕시코 대회는 이와 같은 회의 성격을 잘 드러내 성공적인 대회로 평가 받는다.
우리도 오는 2014년 부산 ITU전권회의를 맞아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여기에 건전한 정보통신기술(ICT) 시장 질서가 기반돼야 한다.
우리나라는 IT강국, 스마트폰 글로벌 브랜드 보유국 등과 같은 명성에 비해서는 허술한 ICT 시장을 운영하고 있다.
한 예로 이통사업자는 과도한 보조금 지급으로 시장 질서를 어지럽히고 있으며 방송통신위원회는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 보다는 과징금 부과 등 당장 눈에 띄는 정책을 내놓는데 급급하다.
단기적인 대책은 효과가 약할 수밖에 없고 같은 사안의 재발을 불러올 뿐이다.
ICT 시장질서가 흐트러진 나라에서 글로벌 이슈를 해결할 정책을 논의한다는 사실에 우리 스스로가 무안하다.
방통위와 이통사업자가 적극 나서서 흐트러진 시장 질서를 바로 잡아야 한다.
건전한 ICT 구축이 방통위나 사업자 한 쪽의 노력만으로 완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2014년이 부산 ITU전권 회의가 다가오고 있다.
평창동계올림픽이 강원도만의 잔치가 아닌 것처럼 부산전권회의도 부산만의 축제가 아니다.
2014년 부산은 정부의 적극적인 홍보, 국민들의 열띤 호응과 이를 통한 양측의 협력과 준비가 필요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