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원장은 이날 서대문구 충정로 구세군아트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야권 단일화에 관한 질문을 받고 "(이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원칙이 두 가지가 있다. 정치권에 진정한 변화와 혁신이 중요하다는 점과 국민들이 그것에 동의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두 가지가 갖춰지지 못한 상황에서는 단일화 논의를 하기엔 부적절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정치 전문가들은 사실상 민주통합당에 강한 쇄신책을 요구하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그는 단일화에 대한 구체적인 전제조건과 관련해서는 "정치권이 정말 진정하게 변화와 개혁했는가는 내가 판단할 게 아니라 국민이 판단하리라 본다"며 "시한을 못박는 것도 아니고 방법 논의도 이르다"고 덧붙였다.
안 원장이 독자노선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향후 안 원장의 지지율이 급등할 경우, 굳이 연대할 필요 없이 당선 가능하다면 구태여 후보 단일화를 할 명분이 없다.
그러나 안 원장이 조건 선행을 내건 만큼 단일화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하진 않았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전문가들은 단일화가 이뤄질 경우, 담판 보다는 경선 형식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용직 성신여대 교수는 “지난해 서울시장 선거에서 안 원장과 박원순 시장은 정당 후보가 아니었고, 세력이 형성돼 있지 않았기 때문에 담판이 가능했으나 지금은 다르다”며 “당 대 당 통합형식으로 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다만, 지난 경선에서 모바일 투표의 문제가 드러난만큼 이를 보완해서 치뤄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