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민경진 인하대 교수와 이철구 고려대 교수가 조선시대 환관들의 족보(양세계보)를 분석, 환관들이 같은 시대 양반들에 비해 최소 14년 이상 오래 살았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4일 밝혔다.
양세계보는 조선시대 환관들은 생식기관이 불완전한 남자(고자)를 입양해 대를 잇고 이를 기록한 족보로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돼 있다.
연구팀이 양세계보를 분석한 결과 조선시대 환관들은 평균 수명이 70세로, 당시 51~56세를 살았던 양반들에 비해 최소 14년 이상 오래 살았다.
조사한 81명의 환관 중 3명은 100세(上壽)를 누린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환관들의 수명은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에서도 재확인됐다.
남성의 평균 수명은 여성에 비해 약 10% 짧은데, 이것은 사람뿐만 아니라 모든 포유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남성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거세’가 동물의 수명을 연장한다는 사실은 과학적으로 증명됐지만 사람의 거세가 수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민 교수는 “지금까지 다른 문화에서도 환관은 존재했지만, 입양을 통해 대를 이은 것은 우리나라가 유일해 가능했던 연구”라며 “중년 이후 남성호르몬 차단을 통한 항노화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