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표 '매머드 복제' 어디까지 왔나?.."살아있는 세포 발견이 핵심인데"

  • 털·골수의 일부 손상되지 않은 세포핵 발견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황우석 박사가 빙하기 때 멸종한 ‘매머드(맘모스)’ 복제에 적극 나섰다.

24일 황우석 박사가 이끄는 수암생명공학연구원에 따르면 황 박사와 소속 연구원들은 지난달 8일부터 지난 8일까지 1개월간 러시아 사하공화국의 수도 야쿠트 및 야나 강 일대에서 얼음과 땅속에 파묻혀 있는 매머드 조직을 발굴하는 작업을 벌였다.

작업에서 매머드의 털과 골수, 일부 손상되지 않은 세포핵이 발견됐다.

이들은 러시아 북극 해안인 우스트얀스크 지역에 5∼6미터 깊이의 터널을 뚫고 탐사작업을 벌여왔다.

연구팀엔 러시아, 한국을 비롯해 미국, 캐나다, 스웨덴, 영국 전문가들이 참가했다.

다음 단계는 채취된 조직에 살아있는 세포가 존재하느냐를 밝히는 일이다.

그리고르예프 NEFU 교수는 “복제에 필요한 것은 단 1개의 살아있는 세포”라고 말했다.

이번에 채취된 조직에서 살아있는 세포를 찾는 일은 수암생명공학연구원이 맡는다.

그러나 살아있는 세포를 발견하는 게 쉽지는 않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세포가 살아있으려면 -4℃에서-20℃ 사이 안정된 온도에 보관돼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1990년 이후 유사한 작업이 여러 번 시도됐으나 성공한 사례는 아직 없다.

한편 발굴작업에는 황 박사팀 뿐 아니라 러시아 북동연방대학 맘모스 박물관 연구원팀, 러시아 과학원 소속 상트페테르부르크 동물 박물관팀, 스웨덴 유전학자팀, 캐나다 동토층 전문가팀 등이 참여했다.

발굴작업 전 과정은 내셔널 지오그래픽 채널에서 촬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