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브이월드를 통해 본 금강산 모습. [이미지 제공 = 국토해양부] |
국토해양부는 오는 27일부터 공간정보 오픈플랫폼 ‘브이월드(www.vworld.kr)’를 통해 북한 전지역 1m급 해상도 위성영상 지도를 무료로 제공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지난 2006년 발사된 위성 아리랑 2호가 2007년부터 촬영한 자료를 가공해 만든 3차원 공간정보로 구현됐다. 최근 북한에서 통용되는 지역의 지명과 시설명칭 등 약 2만3000건의 지리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사재광 국토부 공간정보기획과장은 “3차원 공간정보 위에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수집한 행정·자연지명, 시설명칭 등이 상세하게 표시됐다”며 “북한 지역에 실제 가보는 느낌을 체험할 수 있어 북한지역이 고향인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북한지역은 구글이 유일하게 고해상도 위성영상지도를 서비스해왔다. 하지만 지명·시설명칭 등 필수정보가 빠진 영상이미지 정보만 제공했고 지도공개프로그램(Open-API)은 유료로 책정돼 북한 지역 지리정보 활용에 불편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 서비스 제공으로 ‘일만이천봉’의 금강산과 백두산·묘향산 등 북한 전역의 모든 산과 땅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게 됐다. 평양 시내 도로를 지나가는 차량이나 대동강 양각도 등도 체험할 수 있다.
북한 전역을 볼 수 있게 되면서 불거질 수 있는 보안상 우려에 대해 사재광 과장은 “휴전선은 전후방 50km를 위장 처리해 브이월드에서 아예 볼 수 없도록 조치했다”고 말했다.
이용방법은 브이월드에서 관심 있는 지명이나 행정구역명 등을 입력·검색하면 해당 위치로 곧바로 이동해 1m 해상도로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국토부는 브이월드를 통해 10월에는 독도, 12월에는 6대광역시와 서울 일부 지역 및 런던·시드니 등 세계 주요도시에 대한 3D 등 고정밀 공간정보를 확대 서비스할 예정이다. 향후 전세계를 대상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