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전 서울 중구 소공동 한국은행 본관에서 김중수 총재 주재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이 같은 견해에 한목소리를 냈다.
참석자들은 "유로지역 재정위기의 영향으로 올해 중 선진국과 신흥시장국 경제 모두 부진하겠으나 내년 이후에는 완만하게 회복될 것"이라며 "국내 경기도 산업별로 시기의 차이가 있겠지만 글로벌 경제의 회복 흐름과 더불어 점차 개선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한 우리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서는 주택시장 연착륙, 내수 활성화 등이 긴요하다는 견해가 있었다.
한 참석자는 "주택가격의 경우 금융위기 과정에서 별다른 조정을 받지 않아 어느 정도의 하락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나, 단기 급락으로 금융시장 불안이 초래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은법 개정으로 금융안정 기능이 추가된 만큼 중앙은행의 적극적 역할 수행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또 다른 참석자는 이와 관련해 "다양한 통화정책수단을 개발하여 필요시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아울러 "최근 장단기 금리 역전 현상은 미래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 등 거시경제와 관련해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김 호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상근부회장, 송병준 산업연구원장, 송의영 서강대학교 교수, 이동근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정지만 상명대학교 교수, 최흥식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