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총예산의 25.1%를 차지했던 농업예산은 내년도 정부예산안에서 5.3% 수준으로 내려앉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역대 농어업예산 중 최저 수준이다. GDP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31.3%(‘62년 당시 GNP)에서 2.4%로 1/13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농식품부 예산 국제비교에서도 총예산 대비 미국 4.9%(2010년), 프랑스 5.9%(2010년) 보다 적은 4.5%(2013년 예산안)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이 우리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예산이 줄어든 만큼 농가소득도 급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2011년 기준 농어가 월평균 소득은 251만원으로 전국가구 월평균소득 382만원의 65.7%, 도시근로자가주 월평균 소득 425만원의 59.1% 수준. 이는 소득하위 30%에 해당하며, 도시와 비교해 현저히 낮은 농촌지역 소득수준을 보여준다.
농가부채 규모도 1970년 가구당 1만6000원으로 소득대비 6% 수준이었던 것이 지난해 2600만원 수준으로 늘어나 소득대비 부채비율이 86% 수준으로 높아졌다.
김 의원은 2011년 안동농협의 ‘조합원 경제활동과 삶의 질 조사보고서’를 인용, “5603호 조합가구 중 1000만원 미만의 소득규모를 가진 가구가 35%, 1000~2000만원 사이의 소득규모 가구는 24%”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전체 농가의 연평균소득이 3000만원 수준이라고 하지만, 실제 3000만원 미만의 소득규모를 가진 농가가 전체의 75%이고, 2000만원 미만의 농가는 무려 60%나 된다는 것.
이와 관련, 김 의원은 “이마저도 비료값·기름값·농협이자를 제하고 나면 실질 소득은 더 줄어들 것”이라고 말하고 “농어가 월평균소득 251만원을 전국가구 중위소득 350만원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으로 △산림자원을 소득으로 연결시킬 ‘금수강산 프로젝트’ 실행 △농어촌을 문화체험숙박공간화 하는 ‘지트-코리아’ 설립 △잎담배 생산농가 보호를 위한 대책 △논·밭의 직불제 확대 △농업재해보험의 품목과 범위 확대 △수리시설 개보수와 밭작물기계화 등 농업기반조성 △밀원식물·산양삼·생강 등 특화작물 생산기반과 브랜드화 지원 등을 제시하고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