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유만만’ 미국
환율전쟁에 있어 가장 여유만만한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의 경제 펀드멘탈은 인플레이션 우려를 불식시킬만큼 든든하다. 그리고 기축통화 달러화의 입지도 확고하다.
기도 만테가 브라질 재무장관은 연준이 양적완화를 발표하자 “미국이 통화가치를 조작하며 보호주의 정책을 사용하고 있다”며 “이런 일은 우리도 하지 않는다”고 최근 파이낸셜타임즈(FT)를 통해 밝혔다.
그는 “이미 미국 내에 적지 않은 통화량이 풀려있기 때문에 양적완화는 경기 부양에 별다른 효과를 주지 못하고 달러화 가치만 떨어뜨릴 것”이라는 주장이다. 브라질은 달러화가 가장 많이 유입된 국가 중 하나로 이미 브라질 헤알화 가치는 지난 2002년 말 대비 무려 75%나 상승했다.
그렇지만 미국은 크게 신경 쓰지 않는 눈치다. 양적완화에 따른 가장 큰 부작용으로 우려됐던 인플레이션도 아직은 잠잠하다.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은 이같은 전망 속에서 오는 2015년까지 거의 제로 수준의 저금리를 유지하며, 실업률이 7%선까지 안정화될 때까지 양적완화를 계속 시행하겠다는 방침이다. 게다가 기축통화 자리를 놓고 경쟁중인 유로화는 유로존 재정위기로 당분간 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달러화 가치 하락에 따른 인플레이션 여파로 식량, 에너지 등 원자재 상품 가격을 치솟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1일 “양적완화로 뿌려지는 새 통화는 통제되지 않은 불안정한 화폐 파도를 일으키고 결국 아시아나 라틴아메리카로 몰려 이들 국가의 화폐 가치를 필요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발등의 불’ 유럽
경기침체가 세계적으로 일어나면서 거의 무제한적 통화팽창 정책을 사용하는 나라는 최근 미국뿐만이 아니다. 영국도 연초에 추가적인 경기팽창 정책을 단행했고, 최근에는 유로존까지 가세했다. 이미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무제한 국채 매입을 발표하는 등 미국의 3차 양적완화와 별 다름 없는 통화팽창 정책을 시도하고 있다. 중국도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이를 끌어올리기 위한 각종 부양 조치를 발표됐다.
유로존의 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유로화를 시장에 대량 풀어야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큰 부담이다. 현재 위기에 빠진 유로존 국가들은 국가채무조정, 긴축재정 등의 개혁 정책을 통해 국민들에게 허리띠를 졸라매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그러나 시중에 돈이 풀리면 인플레이션이 일어나 일반 국민들에게 고통을 전가할 수 있다. 현재 유로존 물가 상승률은 0%대인 미국과 달리 2%대로 높은 편이다.
유럽연합(EU) 통계국인 유로스타트는 2일 유로존의 8월 생산자물가가 1년전에 비해 2.7%나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WSJ는 3일 “인플레 강세가 이이어지면 중앙은행의 추가 부양 여지가 좁혀질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4일로 예정된 ECB 정례 통화정책회의에서는 일단 기록적으로 낮은 0.75%의 저금리를 계속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수년전까지만 해도 초강세를 보인 유로화는 달러화를 대신할 기축통화로서 자리매김하는 모습이었지만, 최근 상황은 바뀌었다. 유로존이 사용하고 있는 경기부양 정책은 현재도 약세인 유로화 가치를 더욱 떨어뜨릴 전망이다.
◆‘심기불편’ 중국
중국은 미국의 양적완화정책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고 있다. 중국 측은 기본적으로 미국의 양적완화가 위안화 절상과 중국의 수입확대, 그리고 중국제품의 가격경쟁력 하락을 겨냥한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에 대한 맞대응 성격의 양적완화는 중국의 수출경쟁력을 유지해 주겠지만 인플레이션을 야기 시킬 수 있다. 지난해 물가불안으로 힘든 한해를 보냈던 중국으로서는 선듯 양적완화에 나설 수 없는 형편이다. 게다가 미국의 양적완화는 국제 곡물가와 유가를 올리면서 중국의 물가에 영향을 주는 셈이다. 때문에 중국은 미국의 양적완화에 대응해 위안화를 절상시킬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위안화를 절상시키면 석유나 곡물 등의 가격을 안정시킬 수 있지만 서구에서 중국으로 유입되는 상품가격은 낮추는 효과를 가져 온다. 게다가 중국에는 3조달러가 넘는 외환보유고가 있다. 중국으로서는 양적완화로 인해 가만히 앉아서 평가손을 입게 된다.
저우샤오촨(周小川) 중국 인민은행장은 “미국의 양적완화는 결국 홍수로 번져 온 마을을 덮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위기를 해결하고 부실 금융기관을 구제하기 위한 양적완화 정책이 오히려 인플레이션, 신흥시장에 자본 대량 유입, 유동성의 비효율적 분배 등의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대외경제무역대학 쑨화위(孫華妤) 중국국제통화연구센터 주임 역시 ”미국의 3차 양적완화가 중장기적으로 물가상승, 핫머니 과도유입 등 부작용을 초래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원자재 가격이 상승함으로서 유발되는 수입형 인플레이션은 중국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위안화 가치의 절상으로 위안화가 기축통화로 떠오르고 있는 것에 대해 내심 반기는 분위기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