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유럽과 미국의 무제한 양적완화와 중국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으로 세계 경제에 통화전쟁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조치들이 유로존 재정위기 해결과 세계 경제 활성화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불투명한 반면, 해당 경제권의 통화인 달러화와 유로화, 위안화 등의 가치절하는 불가피하다.
미국과 유럽 등이 발표한 양적완화 정책을 제대로 시행하려면 앞으로 천문학적인 돈을 시중에 풀어야 하는데, 이는 해당 통화 가치의 절하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통화 가치의 절하는 단기적으로 가격경쟁력을 높여 무역수지 개선으로 이어지겠지만, 다른 통화 가치를 절상시켜 무역분쟁을 일으키게 된다. 이런 부작용들은 대내적으로는 인플레이션, 대외적으론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1·2차 양적완화 때와 다르게 아시아 등 신흥공업국들은 미국의 추가 양적완화에 대해 대단히 우려하고 있다"며 "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은 공식·비공식적으로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정책에 대응해 자국의 환율에 개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 통화전쟁이 시작됐다는 뜻이다.
아직 기축통화인 달러화의 입지가 확고한 데다, 국내 물가상승률도 지난해 3분기부터 0%대를 유지하는 등 상당히 안정돼 있는 상태다. 이는 양적완화의 가장 큰 위험요인인 인플레이션을 당분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다.
반면 유럽은 유로존 물가상승률(전년 동기비)이 7월 2.4%, 8월 2.6%, 9월 2.7%로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어 양적완화 딜레마에 빠진 상태다. 재정위기로 인한 경기침체에다 긴축재정 등으로 국민들이 극심한 고통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시중에 대규모로 유로화가 풀려 물가마저 급등하면 국민들의 고통은 가중될 수밖에 없다. 또한 양적완화로 유로화 가치가 떨어져 유로화가 기축통화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것도 유럽으로선 고민이다.
위안화가 기축통화로서 기능하기를 바라고 있는 중국은 미국 등의 양적완화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고 지난해 물가불안을 겪었던 중국으로선 인플레이션을 야기할 정도의 대규모 양적완화를 시행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중국 국가통계국 등에 따르면 중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기비)은 2010년 3.3%, 2011년 5.4%였다. 게다가 3조 달러가 넘는 외환보유액을 가진 중국은 글로벌 양적완화로 인해 앉아서 막대한 평가손을 입을 수밖에 없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