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는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스마트뉴딜’을 내놓았다. 정보기술(IT)과 과학기술을 기존 산업에 접목해 질 좋은 일자리를 대규모로 만들어내겠다는 것으로, IT 기술을 농·어업 등 산업 전반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박 후보는 서강대 전자공학과 출신답게 IT기술을 강조하는 한편 청년들이 원하는 미래형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것이다.
이에 함께 박 후보는 문화ㆍ관광ㆍ소프트웨어 등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업종부터 우선 육성할 계획이다. 창업자금 펀드를 조성하고, 벤처에 투자하는 ‘에인절(angel) 투자자’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등 벤처 창업도 촉진할 방침이다. 유연근무제나 재택근무 등을 통해 근로환경과 근로형태도 유연하게 바꾸는 방안도 추진한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는 후보 수락 연설 때부터 ‘일자리 대통령’이 되겠다고 공언했다.
문 후보는 먼저 대통령 직속으로 국가일자리위원회를 설치할 방침이다. 이 위원회 산하엔 청년과 여성일자리 특위를 둘 계획이다.
최근에는 일자리 혁명을 위한 ‘만나바’ 정책도 제시했다. 문 후보는 지난 26일 방송된 정강정책 연설에서 “좋은 일자리를 만(만)들고 나(나)누고 기존의 나쁜 일자리를 좋은 일자리로 바(바)꾸겠다”며 “일자리의 90%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을 중심에 놓는 경제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주 40시간, 연장노동 12시간의 법정 노동시간만 준수해도 70만 개의 일자리가 생긴다”며 일자리 나눔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군복무를 18개월로 단축하고 직업군인 수를 늘리는 방안, 정년 연장과 임금 피크제도 제시했다. 또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해 일자리의 질을 높이고, 정리해고 요건도 엄격히 정해 근로자의 권익도 보호한다는 계획이다.
무소속 안철수 후보는 ‘혁신경제’를 통해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현재의 제조업 중심의 경제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제모델을 만들어 성장과 복지, 일자리를 선순환적으로 해결한다는 것이다. 혁신경제는 모든 경제주체들이 자신의 아이디어와 자원을 새롭게 융합해 보다 많은 부가가치들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그 과실을 모두가 공정하게 나눠 갖는 경제시스템이다.
안 후보는 최근 사회통합적 일자리 포럼에서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세제혜택을 준다거나, 대기업의 불공정거래를 방지한다거나, 중소기업의 혁신을 유도할 수 있는 연구, 개발지원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해법이 될 수 있다"고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면서도 “일자리문제는 대부분 우리 사회의 다양한 영역과 연결돼 있어서 어느 한 쪽으로 쏠리지 않는 균형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안 후보는 7일 정책비전 내놓고 ‘혁신 경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과제’로 자영업자 소상공인 지원과 창업실패자의 새로운 시작을 돕고,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을 일으켜 일자리를 지키겠다고 약속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