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공사뿐만 아니라 지방 이전을 앞둔 국토해양부 산하기관 중 대다수가 호화청사 논란에 휩싸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국도로공사가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이노근 새누리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내년 12월 준공을 앞둔 김천혁신도시의 도로공사 신사옥은 면적이 11만401㎡ 기존 청사보다 면적이 4.5배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중 업무용 시설이 5만8232㎡, 특수시설이 5만2169㎡를 각각 차지한다.
이노근 의원은 이에 대해 “업무용 시설 중 지하주차장 1만2180㎡가 포함돼 이를 제외하면 4만6052㎡에 불과하다”며 “배드민턴장, 직원사택 등 특수시설이 더 넓어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것”이라고 꼬집었다.
사업비는 총 2685억원으로 부지매입비(632억원)가 비교적 낮은 반면 건축비에만 2053억원이 들어간다고 이 의원은 지적했다. 도로공사의 부채는 24조원이 넘는다.
이밖에도 지방에 신청사를 짓는 7개 공공기관 중 4개 기관이 청사 연면적을 기존보다 50% 이상 늘릴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노근 의원은 “떡 본 김에 제사 짓는다고 신사옥을 지으며 복지시설 등 시설물을 통째로 계획한 것에 문제가 있다”며 “공공기관의 사업비 부담은 결국 국민에게 돌아가므로, 사장이 단호하게 제동을 걸고 전향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