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국감> 역사교과서 4.3항쟁ㆍ천황제 등 논란

아주경제 김지나 기자=9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의 국사편찬위원회와 동북아역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국내외 역사교과서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정진후 의원(무소속)은 국사편찬위원회 검정심의위원회가 올해 중학교 역사 검정 교과서에서 ‘제주 4.3항쟁’을 무장봉기라고 쓰게 하고 ‘민주주의’를 ‘자유민주주의’로 대체토록 하는 등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13일 공고된 ‘역사교과서 검정 수정ㆍ보완 대조표’에 따르면 검정심의위는 ‘대통령 3선 금지’는 ‘중임 제한’이라는 표현으로 중화하고, 6월 항쟁을 집필한 대목에서 쓰러지는 이한열 열사의 사진을 다른 사진으로 교체하도록 했다고 정의원은 지적했다.

정의원은 또 “제주 4.3항쟁은 ‘무장봉기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무고한 사람들이 희생됐다고 써야한다’고 권고해 지난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이 했던 국가 차원의 공식사과를 번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을사늑약’을 ‘을사조약’으로 바꾸게하고 위안부를 성노예로 언급한 부분을 삭제하라고 권고한 것도 문제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한 출판사가 ‘민주주의’를 ‘자유민주주의’로 고치라는 요구를 거부하자 국사편찬위가 재권고를 통해 결국 수정을 하도록 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정치적 논란이 일었던 역사교과서 집필기준을 올해 강행한 것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민주통합당의 김태년 의원도 국사편찬위가 일본 역사를 기술한 교과서 대목 ‘국왕 중심의 새로운 정부’를 ‘천황 중심의 새로운 정부’로 수정하라고 권고해 친일본 성향을 보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