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10일 “현재 시급한 것은 일본이 현실을 직시하고 (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훙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 정부가 댜오위다오 영토 분쟁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은 유지하되 중국도 영유권을 주장한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타협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와 관련해 “일본이 잘못을 바로잡아 대화와 담판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궤도로 돌아가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일본은 지금까지 댜오위다오에 대해 중국, 대만 등과 영유권 분쟁이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다. 댜오위다오를 실효지배하고 있는 일본으로서는 이 지역에 영토분쟁이 있다는 사실을 공식적으로 인정한다면 자신의 실효지배의 정당성에 문제가 있음을 인정하게 되는 셈이다. 댜오위다오가 국제적인 분쟁지역이 된다면 국제사법재판소 등 국제기구에서 판결이 날 수 있다. 때문에 일본은 영유권 분쟁의 존재를 인정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훙 대변인은 이어 중국의 재정부장(재무장관)과 중앙은행장이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 불참한 것과 관련해 “일본의 불법적인 댜오위다오 구매 행동은 중일 관계를 매우 곤란한 국면으로 몰고 갔고 이 책임은 완전히 일본이 져야 한다”고 주장해 댜오위다오 사태 보복 조치의 하나로 회의 참석 대표단의 격을 낮췄음을 시인했다.
한편 훙 대변인은 미국에 이어 캐나다도 안보상의 위협을 이유로 정부 통신망 구축 사업에서 중국 통신설비 업체 화웨이(華爲) 등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과 관련해 “중국과 캐나다가 서로 노력해 경협 등 실무 협력을 부단히 강화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하며 에둘러 불만을 표출했다. 훙 대변인은 이어 미국, 캐나다 등을 ‘유관 국가’라고 지칭하면서 이들 나라가 중국과의 경제무역 관계 발전에 적극적인 행동을 취해달라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