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이찬열 의원은 “박 시장이 시비 4조6000억원, SH공사 1조4800억원 등을 들여 임대주택 8만호를 공급한다고 했는데, 서울시 채무 7조원을 감축하겠다면서 동시에 이런 규모의 재원 조달이 가능한지 의문”이라며 날을 세웠다.
이 의원은 “임대주택을 늘리는 것은 전·월세금 폭등으로 고통받는 서민들을 위해 좋은 방안”이라면서도 “시 채무가 19조원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재원조달 방안의 실현 가능성이 중요하다”고 대책을 따져 물었다.
같은 당 문희상 의원은 마을공동체사업의 관 주도 가능성에 대해 지적하며 “새마을운동이 나빠진 결정적 이유는 관이 주도했기 때문이다. 마을공동체사업도 관이 하라마라 하면 실패한다”고 조언했다.
임수경 의원도 “올해 마을공동체사업 예산 724억여원 중 상당액이 담장 허물기 등 기존 사업에 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미 하는 사업이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과로 포장되는 일이 벌써 일어나고 있다”고 가세했다.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한 박 시장의 역점 사업 중 하나인 노들섬 텃밭사업이 ‘전시행정’으로 전락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새누리당 유승우 의원은 “노들섬 텃밭 방문객이 5월 개장 이래 4개월 만에 급감하고 농부교실 등은 회당 참여 인원이 10∼15명에 불과하다”며 “전시행정의 군살을 빼겠다는 서울시가 또 다른 전시행정을 낳고 있다”고 꼬집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