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융복합 사업으로 해외시장 공략 강화

사우디아람코 세계문화센터 도서관 조감도. 삼성SDS는 IT부문을 맡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 = 삼성SDS]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삼성SDS가 정체 상태인 국내시장에서 탈피, 해외시장을 공략하며 글로벌기업으로의 성공적인 변신에 나서고있다.

그 일환으로 삼성SDS는 사업 체질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사업 혁신을 추진하는 한편,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한 글로벌 조직 확대 개편을 마쳤다.

또 다수의 글로벌 우수 개발 인력을 확보 및 양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갖추기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삼성SDS는 국내에서 전자정부·철도AFC·ITS 등 SIE(Smart infrastructure Engineering)사업 및 융복합형 DSC(Digital Space Convergence)사업 등에서 사업역량을 축적해왔으며, 해외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성장동력으로 해당 사업들을 집중 추진 중이다.

특히 스마트 컨버전스 사업인 DSC사업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세계 최대 석유생산회사인 사우디아라비아의 아람코(Aramco)社가 다란(Dhahran)에 건설 중인 세계문화센터 DSC사업을 수주한 데 이어 영국의 주요 명문 대학 중 하나인 버밍엄대의 신축 도서관 사업도 수주하는 성과를 냈다.

DSC사업은 2015년에는 세계시장 규모가 30조원(업계 추산)에 달할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다.

정보통신기술(ICT)과 디자인 감성이 만나 물리적인 공간에 디지털기기, 유무선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첨단 IT기술과 디자인을 적용한 ‘융복합형 IT 비즈니스 모델’를 말하며 주로 도서관, 전시관, 박물관, 복합쇼핑몰 등에 적용된다.

삼성SDS는 국립중앙박물관과 연세대·성균관대·명지대 등 국내 유수 대학의 학술정보관사업을 수행해왔으며 연세대의 경우에는 태국·대만·중국 등 해외 대학을 포함해 4만7000여명이 벤치마킹을 위해 방문할 정도로 성공적인 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사우디 아람코社의 세계문화센터 건립 사업은 건축·정보기술(IT)·전시 등 3개 부문으로 추진되는데 이중에서 IT부문을 삼성SDS가 맡았다.

삼성SDS가 성공적으로 구축한 중국 광저우 지하철 AFC사업. 이를 통해 승차권 구입 및 개?집표까지의 모든 업무 및 각종 통계업무를 정보시스템으로 처리가 가능해졌다. [사진제공 = 삼성SDS]


이번 성과는 삼성SDS가 국내에서 축적한 DSC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한 결과로 국내 기업이 글로벌 DSC사업 시장에 진출한 최초의 대규모 사업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사우디 아람코社의 세계문화센터 DSC사업은 국가 및 기업의 정보시스템 구축 시 대부분 현지에서 설계 및 개발을 하는 사업과 달리 국내에서 스마트도서관, 원격 교육 등 시스템 개발과 공연장, 영화관 등 IT 전시관 설계를 진행하고 현지에선 시공만 하도록 함으로써 공기 단축 등 사업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선진형 IT사업 모델’을 처음으로 적용한 사례다.

삼성SDS는 미국 MIT·스탠퍼드·인디애나주립대(블루밍턴) 등 주요 명문대들이 DSC사업 노하우를 배우기 위해 접촉 중이라며 앞으로 해외진출이 더욱더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와 함께 삼성SDS는 국내 전자정부사업의 성공적인 구축을 바탕으로, 조달청 등 정부기관과 민-관 협력으로 해외에서도 베트남, 몽골 및 코스타리카 전자조달시스템 구축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삼성SDS 전자정부 모델의 우수성을 입증한 바 있으며, 현재 튀니지 전자조달시스템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튀니지 전자조달시스템 시범구축사업은 튀니지 정부가 부정부패 척결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게 됐으며 삼성SDS는 전자조달 로드맵 수립 및 컨설팅, 파일럿 시스템 개발 등을 작년 말부터 착수해 현재 개발 중에 있다.

또한 삼성SDS는 철도자동요금징수시스템(AFC)·지능형교통시스템(ITS)·스마트빌딩 등에서 솔루션 및 플랫폼을 확보한 데 이어, 융복합형 SIE(Smart infrastructure Engineering)사업으로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이미 2002년부터 중국 광저우·베이징·우한·텐진에서 세계 유수의 기업들을 제치고 중국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한 삼성SDS의 AFC기술은 ICT서비스 해외수출의 최고로 자리잡아 가는 중이다.

이를 바탕으로 2008년 인도 델리, 2009년 인도 방갈로, 2010년 중국 청두, 2011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프 등 굵직한 AFC 사업을 수주하며 실력을 인정받고 있다.

장화진 삼성SDS 글로벌사업본부장 상무는 "올해를 해외사업의 원년이라고 보고 더 적극적으로 해외사업확장을 추진해나갈 것" 이라며 "시장을 선도하는 차별화된 경쟁역량을 강화하고 다양한 채널을 통해 글로벌 우수 인재를 적극적으로 확보해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