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에선 ‘후보단일화’를 놓고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치열한 기싸움을 전개하고 있다. 이 또한 핵심은 권력분산이다.
새누리당 친이계에선 대선에 대한 비관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100% 필패한다는 우려다.
쇄신파 김용태 의원은 16일 “지금 당에선 야권단일화의 파괴력이 약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생각”이라며 “대통령과 중앙정부의 권력분산을 위한 개헌을 박 후보가 약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개헌을 고리로 안 후보와 연대하던지, 안하더라도 정치쇄신을 주장하면서 안 후보의 경쟁력을 떨어뜨려야 한다”며 “개헌을 한다면 당내 제세력(친이계)이 선대위에서 뛸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친박(친박근혜) 진영에선 권력 분산과 관련한 개헌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그쪽에서 말하는 개헌은 우리가 받기 힘들다”며 “당 소속으로 계파를 떠나 박 후보를 지원해야지 (정치적 의도의) 선결조건 등을 내걸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김무성 총괄선거대책본부장도 이날 당 국민소통위 회의에서 “야권이 과연 단일화할 것인지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본다”며 “물론 단일화가 미칠 영향력이 있지만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야권단일화의 파괴력이 약하기 때문에 친이계가 주장하는 권력분산론을 받을 필요도 없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야권에서는 권력분산의 큰 그림은 비슷하게 그리고 있다. 문 후보는 책임총리제를, 안 후보 측은 대통령이 국가미래 비전과 통일.외교 등 외치를, 총리가 내치를 담당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문제는 단일화 방식이다. 문 후보는 정당을 기반으로 한 단일화를, 안 후보 측은 제세력간 연대나 연합을 주장하고 있다.
문 후보 측 우상호 공보단장은 “책임총리제는 단순히 단일화를 위한 두 후보의 권력분점 때문이 아니라 기존에 대통령 중심제가 지닌 폐해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치쇄신위에 함께 참여해 권력분산 논의를 진행하자고 안 후보를 압박했다.
이에 반해 안 후보 측은 정당 기반 단일화는 민주당에 입당하라는 소리라면서 ‘무소속 대통령 가능론’으로 맞서고 있다. 일각에서는 안 후보가 단일화에 패배시 이들 캠프가 민주당에 흡수통합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야권의 한 관계자는 “공동정부나 연합 등 단일화 방식 자체가 권력분점을 두 후보가 어떻게 할 것이냐를 논의하는 것 아니냐”며 “대통령 권력분산이라는 큰틀이 같기 때문에 세부적인 세력간 권력 배분을 놓고 과도한 경쟁을 해선 국민에게 감동을 못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