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 빅3, '권력분산'만이 청와대행 지름길?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대선주자들이 ‘권력분산’ 문제를 놓고 고민에 빠졌다. 새누리당 친이(친이명박)계에선 분권형 대통령제를 선결조건으로 내걸면서 선대위 참여를 거부하고 있다. 박근혜 대선후보 측은 개헌카드를 수용하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야권에선 ‘후보단일화’를 놓고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치열한 기싸움을 전개하고 있다. 이 또한 핵심은 권력분산이다.

새누리당 친이계에선 대선에 대한 비관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100% 필패한다는 우려다.

쇄신파 김용태 의원은 16일 “지금 당에선 야권단일화의 파괴력이 약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는데 이는 잘못된 생각”이라며 “대통령과 중앙정부의 권력분산을 위한 개헌을 박 후보가 약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개헌을 고리로 안 후보와 연대하던지, 안하더라도 정치쇄신을 주장하면서 안 후보의 경쟁력을 떨어뜨려야 한다”며 “개헌을 한다면 당내 제세력(친이계)이 선대위에서 뛸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친박(친박근혜) 진영에선 권력 분산과 관련한 개헌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그쪽에서 말하는 개헌은 우리가 받기 힘들다”며 “당 소속으로 계파를 떠나 박 후보를 지원해야지 (정치적 의도의) 선결조건 등을 내걸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김무성 총괄선거대책본부장도 이날 당 국민소통위 회의에서 “야권이 과연 단일화할 것인지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본다”며 “물론 단일화가 미칠 영향력이 있지만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야권단일화의 파괴력이 약하기 때문에 친이계가 주장하는 권력분산론을 받을 필요도 없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야권에서는 권력분산의 큰 그림은 비슷하게 그리고 있다. 문 후보는 책임총리제를, 안 후보 측은 대통령이 국가미래 비전과 통일.외교 등 외치를, 총리가 내치를 담당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문제는 단일화 방식이다. 문 후보는 정당을 기반으로 한 단일화를, 안 후보 측은 제세력간 연대나 연합을 주장하고 있다.

문 후보 측 우상호 공보단장은 “책임총리제는 단순히 단일화를 위한 두 후보의 권력분점 때문이 아니라 기존에 대통령 중심제가 지닌 폐해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치쇄신위에 함께 참여해 권력분산 논의를 진행하자고 안 후보를 압박했다.

이에 반해 안 후보 측은 정당 기반 단일화는 민주당에 입당하라는 소리라면서 ‘무소속 대통령 가능론’으로 맞서고 있다. 일각에서는 안 후보가 단일화에 패배시 이들 캠프가 민주당에 흡수통합되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야권의 한 관계자는 “공동정부나 연합 등 단일화 방식 자체가 권력분점을 두 후보가 어떻게 할 것이냐를 논의하는 것 아니냐”며 “대통령 권력분산이라는 큰틀이 같기 때문에 세부적인 세력간 권력 배분을 놓고 과도한 경쟁을 해선 국민에게 감동을 못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