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박 후보와 문 후보는 선대위 내 핵심기구인 '100% 대한민국 대통합위원회' 위원장과 '일자리혁명위원회' 위원장을 직접 맡아 진두지휘하기로 했다. 사실상 박 후보는 국민대통합에, 문 후보는 일자리에 방점을 찍은 것이다. 특히 문 후보의 경우, 집권 후에도 국가일자리위원회 위원장은 직접 맡을 것이라고 약속하면서 차기 정부 역시 일자리 창출에 역점을 두겠다는 뜻을 비췄다.
박 후보는 16일 당사에서 100% 대한민국대통합위원회 위원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는 한편 이들과 티타임을 가졌다. 사실상 그동안 과거사 논란과 인적 쇄신 문제로 중단됐던 국민대통합 행보를 재개하는 것이다.
그는 이 자리에서 "지금 우리 사회는 많은 갈등과 상처가 내재돼 있다"며 "불균형과 갈등, 양극화가 심한 가운데 사회적으로 내재된 상처와 갈등을 치유하지 못한다면 더이상 미래를 만들어 나갈 수도 없고 또 국민의 삶도 더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시대가 요구하는 가장 절실한 국민대통합을 이뤄내야만 국민도 행복해질 수 있고 세계 속에서 우리나라가 더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박 후보는 이어 한광옥 국민대통합위 수석부위원장 등 관계자들과 함께 4·19묘지를 찾아 참배하고 희생자와 유가족들을 위로했다.
반면 문 후보는 이날 여의도 시민캠프 카페에서 열린 일자리혁명위원회 1차 회의를 직접 주재하며 거듭 일자리 강조에 나섰다.
그는 “성장·복지·경제민주화가 모두 일자리에서 시작되고 귀결된다”며 “일자리야말로 많은 문제를 풀어갈 수 있는 첫 실마리”라고 말했다.
또 "이명박 정부의 747정책은 일자리를 경제성장에서만 찾았지만 일자리는 늘어나지 않고 줄었다"며 본인이 제시한 '만나바'(일자리를 '만'들고, '나'누고, 기존의 나쁜 일자리를 '바'꾸자) 일자리 정책을 강조했다.
문 후보는 "일자리 위원회는 단순히 선거용 자문위원회가 아니다"라며 "차기 정부의 국가일자리위원회의 토대가 될 것"이라며 힘을 실어줬다. 또 “대통령이 된 후에도 일자리위원회 위원장은 직접 맡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일자리 창출에 소홀하지 않을 것임을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