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서울연구원이 발간한 ‘마을문화활동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정책리포트 제126호)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시내 마을단위 문화활동은 수가 많지 않고, 개인이나 단체들이 자신의 목적을 위해 하는 활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마을단위 조직으로 움직이는 문화활동은 ‘성미산 마을’이나 ‘삼각산 마을’, ‘성대골 마을’, ‘염리동 창조마을’, 송파구 문정동의 ‘즐거운가’ 정도이다.
개인이나 단체들은 개인적 형태의 잡지 발행, 서점이나 도서관 운영을 주로 하고 있었다.
시는 올해 마을공동체 회복을 위해 4개 분야, 35개 사업에 725억원을 투입했다. 마을공동체 회복의 핵심사업은 문화사업으로 총 사업예산의 35%, 사업수의 40%를 차지한다.
주요 사업은 마을예술창작소 조성, 우리마을 북카페 조성, 우리마을 미디어문화교실 구축, 작은 미디어센터 구축, 마을박물관 조성 등이 있다.
라도삼 연구위원은 “실제 일어나는 마을문화 활동은 대부분 개인적 필요성이나 욕구, 지역에 대한 관심에서 나타난 활동”이라며 “기존에 자생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이 필요한 것은 책이나 인쇄비, 광고 지원인데 서울시는 기존활동을 지원하기 보다는 공모 정책사업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라 연구위원은 “현재의 마을문화 활동에 기초해 활동하는 이들의 활동을 지원해 시민들이 같은 활동을 하도록 욕구를 자극하는 게 필요한 전략”이라며 “공모형 사업의 무리한 확산보다는 자발성에 기초한 자생적 확산이 필요하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