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마비환자 응급실가도 생존 3%…뇌기능 회복 0.9% 불과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병원 밖에서 갑자기 심장 활동이 멈추는 심정지(심장마비;Cardiac arrest)를 겪어 응급실로 옮겨져도 100명 중 3명만 목숨을 건지고, 뇌기능까지 회복하는 것은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질병관리본부는 ‘병원외 심정지 의무기록조사 결과’ 보고서에서 2006~2010년 병원 밖 심정지 사례 9만7291건을 분석한 결과 인구 10만명당 심정지 발생률은 2006년 39.3명, 2007년 39.7명, 2008년 41.4명, 2009년 44.4명, 2010년 44.8명으로 해마다 늘어났다.

심정지 환자의 병원 도착 시점 생존율은 9.4%, 살아서 퇴원한 경우는 3.0%에 불과했다. 목숨을 구했더라도 뇌기능까지 회복된 경우는 0.9% 밖에 없었다.

이는 주위 사람들로부터 초기 심폐소생술을 받는 비율이 미국과 일본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으로, 심폐소생술 교육 확대와 제세동기(심장충격기) 설치·활용이 시급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