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평균 환율 50원 하락시 삼성전자 순익 2조원 감소”

원·달러 환율이 50원 내려가면 삼성전자의 순이익이 10%가량 줄어든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반면, 대한항공은 순이익이 80%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등 환율 변동에 따라 기업별 명암이 뚜렷하게 갈렸다.

28일 우리투자증권의 ‘환율하락 민감도분석’ 자료에 따르면 올해 연간 원·달러 평균환율이 이 증권사의 올해 전망치인 달러당 1,108원에서 1,058원으로 50원 하락하면 이 같은 순이익 변화가 예상됐다.

대상 기업은 우리투자증권이 분석하는 코스피와 코스닥 주요 상장사 146개다.

이 증권사 관계자는 “올해 연간 평균 환율이 1,058원으로 내려가지는 않는다”면서 “이 분석은 어떤 종목이 환율에 민감한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순이익 감소율이 가장 큰 곳은 LG디스플레이였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예상 순이익이 3천482억원이었으나 환율이 50원 떨어지면 3천320억원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순이익이 95.4%나 줄어드는 것이다.
LG디스플레이에 이어 순이익 감소율이 높은 기업은 삼성테크윈(-19.2%), 금호석유(-17.8%), KPX화인케미칼(-15.4%) 순으로 나타났다.

대우조선해양(-10.3%)과 SK이노베이션(-10.2%), 삼성전자(-9.6%) 등도 감소율이 높았다.

삼성전자의 올해 예상 순이익은 21조6천239억원이었으나 환율이 50원 내려가면 순이익이 2조760억원(9.6%)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삼성전자 총매출도 올해 197조9천754억원으로 예측됐으나 환율 하락시 5조2천220억원(2.6%) 감소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달러로 결제하는 매출액 비중이 달러 결제 원자재 비용보다 더 높아서 환율 하락이 매출액과 영업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달러자산이 부채보다 커서 순이익에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아차는 순이익이 7.5%, 매출이 4.0% 각각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현대차는 순이익이 6.0%, 매출은 2.5% 각각 줄어들 것으로 관측됐다.

반면, 환율 하락에 따라 석유나 원자재 등을 대량 수입해 사용하는 운송과 제철업종은 순이익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이 가장 큰 수혜를 누릴 전망이다.

대한항공은 올해 예상 순이익이 4천81억원이었으나 연간 평균환율이 50원 내려가면 82.8%, 3천380억원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항공의 올해 매출도 기존 예상했던 13조2천343억원에서 1천410억원(1.1%)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환율절상에 따른 항공유 가격 인하 효과에다 원화 강세로 외국여행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진해운도 순이익이 70.5% 늘어나고 아시아나항공과 포스코도 각각 56.0%)와 18.9%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우리투자증권 관계자는 “기업들이 환 헤지를 통해 환율 등락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환율이 서서히 내려간다면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관계자는 “수출 이익의 일부가 줄어들겠지만, 수출기업 실적의 3∼5%가 내수로 전이돼 내수업종에는 오히려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연합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